자원외교 앞장선 에너지공기업, 부채는 ‘눈덩이’ 혈세는 ‘펑펑’

2015-03-02 06:00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 "캐나다 하베스트, 캐나다 혼리버, 멕시코 볼레오…."

과거 이명박 정부 석유공사 등 해외자원개발을 주도한 에너지공기업 3사의 대표적인 부실 해외자원개발 사업들이다. 이들 공기업은 당시 해외자원개발에 막대한 돈을 쏟아부었지만 결과적으로 부채가 최대 7배까지 급증했다는 질타를 받고 있다.

여기에 해당 공기업 임직원들이 '성과급 잔치'를 벌리면서 국민들의 혈세를 날리고 있다는 지적의 목소리도 높아지는 상황이다. 실패로 불리는 자원외교의 중심에 선 이들 공기업이 최근 자원외교에 대한 국정조사에서 연일 날선 지적을 받는 이유다.

1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에 따르면 이명박 정부 5년간 석유공사와 가스공사, 광물자원공사 등 에너지 공기업 3사의 부채는 42조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는 지난해 6월 기준 노무현 정부 때와 비교해 석유공사가 14조2000억원, 가스공사가 24조6000억원, 광물공사가 3조2000억 원이나 증가한 비용이다.

석유공사의 경우 부채가 2008년 5조5059억원에서 2013년 18조5167억원으로 3.3배 늘었으며, 부채비율도 73.3%에서 180.1%로 급증하는 등 재무건전성이 악화됐다. 특히 하베스트, 숨베 등 인수한 해외기업들의 실적이 떨어지면서 매출액 순이익률도 2008년 11.4%에서 2013년엔 마이너스 7.2%로 곤두박질했다.

가스공사도 2008년 17조8645억원이던 부채가 2013년 34조7336억원으로 두 배가량 늘었다. 무엇보다 외화부채가 2조2914억원에서 12조4623억원으로 5배 이상 급증했다.

광물자원공사의 부채는 같은 기간 5234억원에서 3조5235억원으로 6배 이상 늘어났다. 부채비율은 85.4%에서 207.6%로 뛰어올랐고 차입금 의존도 역시 45.3%에서 63.2%로 높아졌다.

이런 상황에서 이들 공기업이 받은 성과급은 무려 1454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공사는 하베스트 정유부문 계열사인 '날(NARL)'의 부실로 1조원이 넘는 손실을 봤지만, 성과금은 되려 100억원 늘은 211억원을 받았다. 급여에 있어서도 석유공사 직원 1인당 평균 기본급은 2008년 4773만원에서 매년 올라 2012년에는 5492만원까지 상승했다. 각종 상여금을 합치면 매년 평균 7000만원 이상을 받은 셈이다.

가스공사도 혼리버 사업을 통해 현재 6000여억원의 손실을 기록 중이고, 이라크 아카스 사업과 만수리아 사업을 통해 손실예상액이 3850억원에 달하고 있다. 하지만 임직원들의 성과금은 전년보다 40억원 이상 많은 184억원으로 집계됐다.

멕시코 볼레오 사업과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사업 등에 무리하게 투자한 광물공사도 5년간 230억원의 성과급을 받아갔다. 광물공사의 부채는 2007년 이후 3조1000억원 늘었고, 2013년 연말 기준으로 유동부채가 유동자산 보다 2000억원 많아 실제로 파산 위험이 있는 상황이다.

아울러 이들 공기업들이 해외자원개발에 얹어준 ‘웃돈’만 해도 석유공사가 5480억원, 가스공사 984억원, 광물공사 448억원으로 총 691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위 한 의원은 “해외자원개발사업에서 대규모 손실이 발생하게 된 근본적인 원인을 분명하게 밝히고, 과도한 관리업무비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주무부처인 산업부 역시 이들 공기업을 효율적으로 견제하는 한편, 실패에 대해 책임지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