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전기차 급속충전기 2018년까지 500기 늘린다

2015-02-19 13:40
전기차 대중화 필수 인프라 확충

 [서울시 전기차 보급 현황. 표=서울시 제공]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서울시가 공영주차장, 호텔 등 시내 주요 지점과 경기‧인천 경계 지점에 2018년까지 전기차 급속충전기 500기를 확충한다. 서울 어디서나 5분 이내 충전기 접근성을 확보하겠다는 취지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최근 전기차 보급에 필수요건인 충전인프라 확충 및 이용 편의 증진 차원에서 국내 주요 충전기 제조사인 ㈜시그넷시스템, ㈜이카플러그, 중앙제어㈜, ㈜코디에스, ㈜피앤이시스템즈와 함께 '충전인프라협의체 구성·운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서울시는 2009년부터 전기차 보급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높은 차량 가격과 충전 인프라 부족, 짧은 주행거리 등으로 작년 말까지 보급된 전기차는 1459대에 그친다. 보급 대수는 승용차 931대, 택시 10대, 트럭 6대, 버스 14대, 이륜차 498대 등이다.

서울시는 전기차 대중화를 위해 관련 이용자들이 충전 걱정없이 운행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충전인프라협의체'와 협조해 나갈 계획이다.

향후 충전인프라협의체 역할은 △충전인프라 확충 △충전기술 개발 및 제도개선 △충전기술 전시·홍보 △충전 관련 녹색산업 및 일자리 창출 △주요 기자재 공동구매 추진 등이다.

아울러 시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 거주 비율이 80% 수준인 서울의 특성을 반영, 충전기셰어링 도입과 모바일충전기 보급 등으로 공동주택 완속충전기 설치 문제를 해결할 방침이다.

충전기셰어링은 완속충전기를 공동주택(입주자대표회의, 관리사무소 등)에서 직접 관리하고 전기차 이용 입주민은 이를 공동 이용토록 한다.

모바일충전기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에 설치돼 있는 콘센트만 있으면 전기차 충전이 가능, 전기차 주차 및 충전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외 서울시는 충전인프라협의체와 함께 충전요금 부과·결제, 충전인프라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등 기술개발도 공동진행하기로 했다.

장혁재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이번 업무협약으로 충전기 제조사와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충전이 걱정없는 전기차 이용환경 조성에 힘쓰겠다. 어디서나 전기차를 볼 수 있는 서울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