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까지 창의자산 실용화 20개 대학 사업단에 450억원 지원

2015-02-12 11:30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 정부가 2017년까지 대학 창의자산 실용화를 위한 20개 사업단에 450억원을 지원한다.

교육부는 우수한 기술 및 특허 등을 보유한 대학을 창조경제의 전진기지로 육성하기 위한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사업 추진계획을 11일 발표했다.

사업은 연간 150억원으로 3년간 총 450억원을 투입하고 사업유형을 대학 산학협력단 혁신형, 대학 연구소 혁신형 2개로 구분해 20여개의 사업단(대학)을 선정한다.

대학 산학협력단 혁신형의 경우는 대학의 창의적 자산을 보유·관리하는 산학협력단을 대상으로 17개 내외의 사업단을 선정하고 연구소 혁신형은 특정 분야에 탁월한 경쟁력을 갖춘 연구소를 대상으로 3개 내외의 사업단을 선정할 계획이다.

대학별로 산학협력단 혁신형은 1개, 연구소 혁신형은 2개까지 신청 할 수 있고 대학(연구소) 간 협력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컨소시엄을 구성해 신청도 할 수 있도록 했다.

대학 산학협력단 혁신형의 경우는 컨소시엄 사업단을 5대권역별로 1개 이상을 선정해 지역대학의 기술사업화 역량 제고를 도모할 계획이다.

선정된 대학(사업단)에는 연 5~10억원(평균 7억5000만원)을 지원해 국내외 산업 및 연구개발 동향 수집․분석, 보유 자산에 대한 상업화 가능성 분석 및 사업화 후속 연구개발, 해외 특허 설계 등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 변리사, 산업동향 전문가 등 실용화 전담인력을 갖추고 체계적으로 창의적 자산을 관리하고 각 분야가 융합된 후속연구(R&BD) 및 시작품 제작하도록 지원한다.

교육부는 사업을 통해 대학이 창조경제를 실현하는 하나의 축으로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책연구를 담당한 김상식 고려대 산학협력단장 등 연구진은 향후 3년간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창업이 165건이 이뤄지고 실용화 시작품 건수는 340건 이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부산대 권혁철 산학협력단장은 사업 계획안 발표에 대해 "산학협력단 자체 예산이 충분하지 않아 우수기술에 대한 실용화를 추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번 사업을 통해 본격적으로 지원한다면 좋은 실용화 성과가 많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사업 설명회를 24일 개최하고 내달 중순까지 사업 신청서를 접수해 5월중 선정평가를 완료할 예정이다.

[교육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