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평화협상, 4개국 정상 전화회담 담판나서... 프랑스 "마지막 기회" 언급

2015-02-08 15:34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가운데),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오른쪽)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한 방안 논의를 위해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회동하고 있다. [사진=신화사 ]


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독일, 프랑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정상은 8일(이하 현지시간) 전화회담에서 우크라이나 평화협상을 논의한다. 휴전 기운은 고조되고 있으나 1년에 걸친 우크라이나 동부지역의 전투로 휴전선을 어디에 설정할지에 대한 조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알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은 6일 모스크바를 전격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8일 페트로 포로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함께 전화회담을 열기로 합의했다. 또 우크라이나 동부지역의 평화를 위한 공동문서를 작성하기로 의견이 일치해 주목을 받고 있다.

6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정상회담은 약 5시간에 걸쳐 진행됐다. 7일 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은 “건설적인 논의였다”면서 “일요일(현지시간)에 잠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8일 4개국 정상 간 전화회담에서 새로운 합의문이 나올 경우 5000명이 넘는 희생자가 발생한 우크라이나 동부지역 분쟁은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될 것으로 보인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외교소식통을 인용해 이번 합의문은 지난 9월 체결한 휴전협정을 이행하기 위한 조치와 함께 푸틴 대통령과 포로셴코 대통령의 제안도 반영된다고 보도했다.

3개국 정상회담을 마치고 귀국한 올랑드 대통령은 7일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해 전날 모스크바에서 열린 러시아, 독일과의 정상회담은 전쟁을 피하기 위한 '마지막 기회'라고 언급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올랑드 대통령은 전날 회담에서 프랑스와 독일의 제안은 "마지막 기회 중 하나였다고 생각한다"며 "영구적인 평화 협정을 도출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전쟁이라는 시나리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번 합의문에 실효성이 없을 경우 3개국 간 평화 교섭은 실패한 것으로 인식돼 지난해 9월에 합의한 휴전협정과 같은 휴지조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서방국가의 경제제재와 국제유가 하락으로 경제가 침체된 러시아도 이 사태를 피하기 위해 협조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인테르팍스 통신은 7일 친러 반군 세력 고위관계자를 인용해 우크라이나 정부의 전투 중단이 가장 중요하다고 지적했다고 보도했다. 친러 반군이 요구하는 고도의 자치권을 부여하는 문제도 도마 위에 올라 있다.

러시아는 친러 반군이 고도의 자치권을 획득하면 우크라이나의 외교정책에 적극적으로 개입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을 제지할 것으로 관측된다.

포로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7일 “방위를 위해 무기가 필요하다”고 호소해 서방국가에 군사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조 바이든 미국 부통령은 “우크라이나는 자국을 방어할 권리가 있다”고 화답했다.

8일 독일, 프랑스, 러시아, 우크라이나 4개국 정상의 전화회담을 통해 어떤 합의문이 나올지 주목되고 있으나, 교섭이 결렬될 경우 우크라이나는 미국과 러시아의 대리전쟁으로 발전할 우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