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우리 경제 여전히 부진…일부 지표 경기개선 가능성 시사"

2015-02-05 12:29
물가, 담뱃값 인상에도 불구 매우 낮은 수준에서 정체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5일 한국 경제에 대해 여전히 부진한 상태에 머물러 있으나 최근 완만한 경기 개선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지표들이 일부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KDI는 이날 발표한 '경제동향 2월호' 보고서에서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소폭 상승하는 수준에 머무는 가운데 수출 부진이 지속되는 등 경기상황이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12월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6.2%로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8로 전월보다 소폭 늘어나는 데 그쳤다.

1월 하루 평균 수출액도 8.1% 줄어 전월(-0.4%)보다 감소폭이 크게 확대됐다.

KDI는 아울러 소비 관련 심리지수의 개선이 정체되고 건설수주도 감소하는 등 앞으로 실물경기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다만 생산 및 출하가 증가세로 전환됐고 내수지표도 증가세를 유지해 점진적인 경기 개선 가능성을 시사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광공업 생산은 주요 품목을 중심으로 개선됐고, 출하도 내수 및 수출 모두 증가세로 돌아섰으며 서비스업 생산은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했다.

민간소비는 내구재를 중심으로 크게 늘었으며, 투자는 건설투자의 감소 폭이 축소된 가운데 설비투자는 완만한 증가세를 지속했다.

한편 올해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담뱃값 인상에도 국제 유가 하락 영향이 크게 나타나 1%를 밑도는 매우 낮은 수준에서 정체돼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