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가치, 가문유지→정서만족→교육투자대상 변화
2015-01-29 07:41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자녀를 가문을 잇고 노후를 기대는 존재로 여기던 전통적 가치관이 정서적 만족을 주는 대상을 거쳐 교육적 목적의 투자대상으로 바라보는 쪽으로 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박종서 부연구위원 등은 ‘출산 및 양육의 사회·문화적 환경 분석’이란 연구보고서에서 이같은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연구팀은 다양한 출산장려정책에도 출산율이 반등하지 않고 저출산 현상이 지속하는 이유를 가치 등 문화적 차원에서 접근했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전통적 자녀 가치는 약화하고, 대신 1990년대 들어 자녀를 교육투자 대상으로 삼는 인식이 대두해 뿌리를 내리고 있다.
자녀의 전통적 의미로서 ‘노후의 의탁’은 1980년대를 거치면서 거의 영향력을 잃었다. ‘세대의 계승’을 통한 가문유지란 전통적 가치도 1990년대를 지나면서 점차 색이 바랬다. 아들이 필요한 이유에서 정서적 만족은 증가하지만 가문유지는 감소했다.
그러나 1990년대로 넘어오면서 아낌없는 교육투자 대상, 양육 비용과 양육 고통을 안기는 존재 등 다른 가치들이 대두됐다.
특히 1990년대 이후 자녀는 교육투자 대상으로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부모들은 경제적으로 가능한 한 최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았고 그렇지 못하면 부모로서 심한 죄책감을 느끼고 있었다.
자녀를 교육투자 대상으로 삼는 이런 의식은 현재의 가구 경제, 나아가 국가 경제에 가장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