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400조 수소경제 거점 만든다

2015-01-27 15:02
박근혜 대통령 27일 센터 출범식 참석 ""광주 車산업 창업포털·수소경제 리더 되길"

27일 개소한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를 둘러보며 센터 관계자로부터 설명을 듣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좌측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사진=현대차 제공]



아주경제 주진 기자 =광주시와 현대차그룹이 지원하는 광주 창조경제혁신센터가 27일 문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광주 혁신센터는 이곳에 공장이 있는 현대자동차그룹이 전담지원을 맡아 자동차 산업 창업 중심지 및 수소차 연관산업을 육성하는 한편 소상공인·시장상인·지역주민 등 서민주도형 창조경제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출범했다.

북구 오룡동 광주과학기술원에 자리잡은 1센터는 자동차 분야에 집중하고, 서구 양동 KDB(옛 금호생명) 빌딩에 들어선 2센터는 서민생활 지원사업을 맡는다. 1센터는 주변 연구시설과 연계해 기술 특화 창업(자동차 및 수소연료전지 기술 관련)과 시제품 제작을 지원한다.

특히 차량의 모든 전장부품을 실제 위치에 배치, 시각화한 자동차 전장부품 구성시스템을 국내 최초로 설치했다.

2센터는 소상공인과 문화·예술 창조적 전통시장 육성과 창조문화마을 조성, 소상공인 창업과 사업활성화 지원 등 '서민주도형 창조경제'란 새로운 사업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자동차 창업과 연관 생태계 조성에 투·융자 자금 1675억원이 지원되며, 전국 최초로 '서민생활 창조경제' 기금 100억원도 조성될 예정이다.

특히 현대자동차그룹은 △수소연료전지차 연관산업 및 기술·벤처를 발굴 육성하고, △친환경 복합 충전 및 에너지저장장치 기능이 결합된 융합스테이션 플랫폼을 구축하며, △수소연료전지차 관련 네트워크 마련 및 인력 양성을 통해 수소경제의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자동차 연관 분야 창업을 지원하는 525억원 규모의 신기술사업펀드, 수소연료전지 분야 창업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한 150억원 규모의 수소펀드를 운영한다.

광주 혁신센터는 국내외 기술, 특허, 표준규격, 동향 등 자동차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자동차 정보검색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한다. 현대·기아차가 보유하고 있는 자동차 관련 1000여건의 미공개 특허도 오픈하고 신규 특허정보도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센터 개소식에 참석, 축사를 통해 "지금 광주는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들이 지역경제의 주축을 이루고 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기둔화와 내수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다"며 "이런 어려움을 이겨내기 위해 글로벌기업으로 성장한 대기업과 상생해 광주의 '무등정신'을 창조경제에 접목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광주 혁신센터가 중심이 돼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시장상인, 지역주민 등 지역 공동체 곳곳에 창조경제가 스며들게 만들 것"이라며 △시장상인 등에 대한 디자인 도입 및 마케팅 지원 △문화와 산업을 융합한 체험산업이나 테마마을 조성 같은 마을 특화사업 추진 등을 약속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윤장현 광주시장,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미래·법무·산업부 장관, 지역 국회의원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조경제 관련 64개 기관이 참여하는 12건의 양해각서(MOU)가 체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