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업무보고-환경부] 환경산업, 중국시장 ‘블루오션’ 뚫어라

2015-01-22 14:59
중국, 미세먼지 등 환경 인식 높아져…수요 창출 기대감 상승
환경부, 올해 해외수출 적기…매연 등 환경기술 해외판로 확대

올해 환경부가 추진할 환경산업 및 미래가치 사업 계획. [자료=환경부 제공]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중국이 미세먼지 등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국내 환경산업의 중국 진출이 잰걸음을 보이고 있다. 정부도 중국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국내 환경산업 경쟁력을 끌어 올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환경부는 22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산업촉진 계획을 내놨다. 환경부는 그동안 추진한 미세먼지 저감 등 환경부 고유 사업 이외에 경제 부문도 함께 성장시키겠다는 복안이다.

우선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는 중국 환경시장에 눈을 돌리고 있다. 환경부는 중국 환경시장의 확대가 당분간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올해부터 추진할 방침이다.

이미 지난해 7월 중국 3~5개 제철소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대기오염방지기술 실증사업이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다. 이 사업은 정부에서 200억원 등 총 2000억원 규모의 프로젝트다.

또 집진, 탈진, 자동차 매연저감 등 9대 유망환경기술을 보유한 우리 기업이 중국 환경개선 수요가 많은 북경, 상해, 광동성 등 10개 성ㆍ시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올해 환경산업 해외 지원을 바탕으로 지난해 7조9000억원이던 수출액을 8조6000억원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각오다.

내수 시장은 물 산업의 안정화를 꾀한다. 물 산업 허브가 될 ‘물 산업 클러스터’를 대구에 조성한다. 물 융합 연구동, 비즈니스센터, 실증화 단지 등 기업 기술개발 및 시장진출을 지원하는 모든 주기 지원시설을 구축한다.

기업, 연구소, 공공기관 등의 집적화로 200개 강소기업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물 산업 클러스터는 오는 4월 대구·경북에서 열리는 세계 물 포럼 개최와 맞물려 새로운 역점 사업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국정과제로 선정된 폐자원·에너지 순환이용은 올해 상반기 구체적 윤곽이 나온다. 자원순환사회전환촉진법을 제정하고 업계, 자치단체, 전문가가 참여하는 ‘자원순환협의체’를 운영해 세부제도 구체화에 나선다.

환경부는 순환자원인정제 도입 등으로 재활용 시장이 활성화되면 약 1조7000억원, 일자리 1만개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내년 9월 강원도 홍천에 조성되는 친환경에너지타운을 올해 12월에 조기 준공하고 추가로 3개 타운을 더 지정해 전국으로 확산하겠다는 계획이다.

생태계를 연계한 생태관광은 올해 내수 시장을 견인할 아이콘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환경부는 그동안 추진한 생태관광 육성이 본 궤도에 올랐다고 보고 올해부터 수요자 맞춤형 생태관광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생태관광 성공모델별 차별화된 지원 및 육성 차원에서 제주 선흘 1리는 친환경 숙소조성 등 국제기준 유형으로 조성하고 영산도는 도서지역형 생태관광, 인제 용늪은 용늪 탐방시설 보완 등 보호와 이용의 조화, 고창 용계마을은 생태·문화 결합마을 비즈니스 등 각각 유형별 롤모델을 잡았다.

수요자 맞춤형 생태관광 프로그램 개발은 환경청, 지자체, 교육청 등 관계기관 협업을 기반으로 국립공원 및 생태관광지역 17개소를 ‘생태수학여행’으로 지정해 지역경제를 지원한다.

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환경은 국민행복과 삶의 질의 원천”이라며 “실사구시(實事求是)의 환경정책으로 현세대 뿐 아니라 미래세대까지 행복한 환경을 만드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