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업무보고-해수부] 항만배후단지 리모델링…해양 활용도 높인다

2015-01-13 10:01
민간 주도 개발 허용…글로벌 기업 유치 청신호
바다 그린벨트 이용제한 완화…경제활성화 거점으로 탈바꿈

인천항만배후단지 조성 도면. [도면제공=IPA]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해양수산부는 항만배후단지 리모델링 등 해양공간 활용도를 높여 경제활성화 거점으로 탈바꿈 시키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항만배후단지를 돈과 사람이 모이는 지역경제 중심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항만배후단지는 지난해 말 기준 임대분양률 81%에 육박하고 있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2.1배인 604만1000㎡를 공급하고 493만5000㎡를 임대한 규모다. 외국인 직접투자는 1083억원, 영업가동률 78.8%로 132개 유치기업 중 104개가 가동되고 있다. 일자리는 지난 2년간 4228개를 창출했다.

개발방식은 1종 배후단지의 경우 기존 정부개발·민간임대방식에서 민간 주도 개발·분양도 허용해 글로벌 기업 유치 촉진에 나선다. 2종 배후단지는 상업·주거·업무용 시설 설치 허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해수부는 1종 배후단지는 물류 기능과 임대개발, 2종 배후단지는 도시, 분양 가능으로 분류했다. 또 이달부터 입주기업 선정 평가제도와 사후관리 제도를 개선·보완해 물류기업과 동등한 입주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

항만별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 공격적 마케팅도 눈에 띈다. 부산항은 일본 물류·화주기업 중점 공략, 광양항은 화학·제철 등 배후산단 연계 기업 마케팅, 인천항은 중국 및 수도권 화물 중심 물류기지 등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부산 신항 배후단지에 입주한 일본 미쓰이소꼬코리아와 더 나이스 코리아는 각각 600만 달러를 투자해 공장 가동 중이다.

올해부터 연안에서 자유로운 경제활동도 가능해진다. 수산자원보호구역인 ‘바다 그린벨트’ 이용 제한을 완화한다. 현재 21개 시·군 10개 만(灣) 3230㎢(서울시의 5.3배-육지 368㎢, 해역 2526㎢, 내수면 336㎢)이 그린밸트에서 풀린다.

오는 6월에는 일정면적 이하 음식점과 생활형 숙박업 허용도 검토할 방침이다. 더불어 관광객, 주민을 대상으로 숙박·오락시설·횟집 외 복지·문화·환경정비·레저용 기반 시설을 포함한 편익시설도 늘린다.

낚시·레저선 수요 증가를 감안, 건조·수리 가능 어선 규모와 대상을 각각 24m에서 40m 미만, 어선에서 일반선박으로 확대도 올해 안에 시행한다.

무인도서의 개발·이용 활성화는 인천 소어평도 콘도, 하동 솔섬 청소년수련관 등 도로, 항만 공공시설 지원이 이뤄진다.

이밖에 하반기에 공유수면 준공검사 이전 여건 변화 등으로 일부 구간을 먼저 시공하는 경우 해당 시설물 우선사용 허용을 골자로 한 공유수면관리법 개정도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