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과 러시아의 이민사회 ‘명암’ 갈려

2015-01-08 13:29

[사진= UN 홈페이지 자료 사진 ]


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최근 유럽 역내 경제의 승자와 패자가 갈리면서 이민사회의 명암도 엇갈리고 있다. 특히 국제유가 하락과 서방국가의 경제제재를 받으면서 루블화가 폭락해 경기가 급격히 침체된 러시아와 유럽에서 유일하게 호황을 누리며 승자로 등극한 독일에서 현저히 나타나고 있다.

러시아 이민자 탈출 계획
러시아는 최근 루블화가 급락하면서 경기가 침체돼 구소련 국가의 이민자들에게 동요가 확산되고 있다.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구소련 국가의 이민자들은 달러화로 환산 후 본국에 있는 가족에게 송금하고 있기 때문으로 송금 금액이 눈에 띠게 줄고 있는 것이다. 환율문제와 더불어 건설공사 현장 등의 일자리도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또 러시아에서는 1월부터 개정 이민법이 시행돼 노동자격의 취득이 한 층 더 어려워질 것으로 보여 러시아 이민자들은 딜레마에 빠졌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러시아 현지 언론은 이민자와의 인터뷰에서 “루블화의 폭락으로 본국에 충분한 송금을 할 수 없게 됐다”는 목소리를 소개하기도 했으며, 인테르팍스 통신은 러시아 이민자연맹 회장의 말을 인용해 “2015년에 러시아 이민자의 4분의 1이상이 러시아를 빠져나갈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에서는 2000년 초 경제력이 약한 타지키스탄, 키르기스탄 등 구소련을 형성한 중앙아시아 국가 출신자를 중심으로 이민이 급증했다.

현재 러시아에서는 불법이민자를 포함해 약 1000만명 이상이 대도시에서 단순노동에 종사하며 본국에 있는 가족들에게 송금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해당 국가는 러시아 이민자들이 보내오는 송금이 주된 외화 수입원이 되고 있다.

그러나 2013년 가을 이후 이슬람 계열 이민자와 현지주민과의 마찰을 배경으로 민족주의자들에 의한 반이민 폭동이 모스크바 인근 지역에서 발생하면서 이민에 대한 규제 목소리가 높아지자 러시아 정부는 이민법을 강화했다.

개정된 이민법에 따르면 향후 러시아 이민을 승인 받기 위해 러시아어, 러시아의 역사, 러시아 법률 지식에 관한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러시아 이민자들은 개정된 이민법과 루블화 폭락, 고용 감소라는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 독일 이민 급증, 연 50만명 이상
독일에서는 이민이 증가 추세다. 주로 남유럽에서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입국하는 이민이 많으며 시리아 등 분쟁지역으로부터의 이민도 증가추세에 있다.

유럽에서 유일하게 승자로 등극한 독일은 경기가 굳건해 실업률도 5% 미만으로 유럽지역에서 가장 낮다. 실업자에 대한 사회복지 혜택도 많아 고용정세가 좋지 않은 지역으로부터의 이민이 증가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13년 독일 이민자는 52만 명을 넘었으며 지난 유럽경제 위기 후 6배가 넘는 수준이다. 이민 신청 건수로는 세계 이민 대국 미국을 웃돈다.

이러한 이민자의 급증은 독일에 많은 경제적 혜택을 안겼다. 인구 감소가 억제되면서 전문지식을 갖춘 인재 유입이 늘었으며 독일 이민자의 대졸 비율은 30%가 넘는다고 독일 케른경제연구소는 분석했다.

또 독일 베르테르스만 재단은 이민 증가로 독일 국고에는 연간 220억 유로(약 30조원)의 세입 증가가 발생했다고 시산했다. 이 재단은 “외국인 노동자가 독일인의 일자리를 빼앗아 간다기 보다는 외국인 노동력이 독일 경제에 플러스 효과를 주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