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북한비핵화·한반도평화통일 구상에 대한 아세안 지지 재확인

2014-12-10 08:24
한·아세안특별정상회의 계기 10개국 릴레이 정상회담…아세안과의 협력 수준 한단계 업그레이드

[사진=청와대]



아주경제 주진 기자 = 2015년 아세안 통합을 앞두고 5년 만에 다시 한국에서 개최될 이번 한·아세안 특별 정상회의는 양측 간 협력 수준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계기가 될 전망이다.

아세안은 초기에는 비정치 분야 위주로 협력했으며 이후 정치 분야로 협력 대상을 확대했다.

아세안은 2015년까지 정치, 안보,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분야에서 유럽연합(EU)식의 통합을 하겠다는 내용의 '후아힌 선언'을 2009년 채택하고 통합 노력을 가속화하고 있다.

아세안 국가끼리는 정상회담을 포함, 매년 정례적으로 다양한 레벨에서 회의가 진행되고 있다. 아세안은 우리나라를 포함, 주요 국가와 대화 상대국 관계를 갖고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한-아세안 역시 경제 분야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정치·안보 분야에서의 협력 수준도 이전보다 높아지고 있다.

남북한 동시 수교국인 아세안 10개국은 과거 비동맹 외교를 추구, 우리나라보다 북한과 더 가깝게 지냈지만, 우리나라와의 경제 교류가 심화하고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도발 강도가 높아지면서 한반도 문제에 대한 아세안 국가들의 태도도 이전과는 많이 달라졌다.

북한의 제3차 핵실험이 있었던 지난해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의장성명에는 북한의 주장이 전혀 반영되지 않기도 했다. 일부 동남아 국가는 탈북자 문제에 있어 우리와 협조적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010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은 한국과 아세안은 올해 6월 차관보급 안보대화를 처음으로 개최하고 한반도 정세를 비롯한 역내 주요 안보 이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정부는 안보대화 정례화를 추진하는 등 정치·안보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계속 공들이고 있다.

동북아 안보 차원에서 아세안이 갖는 중요성도 정부가 정치·안보 협력 관계를 발전시키려는 중요한 이유다.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과 중국의 '신 아시아 안보관'이 사실상 아세안을 겨냥한 것이란 평가가 있을 정도로 주요 2개국(G2)도 아세안 공략을 위해 뛰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번 한-아세안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아세안 10개 회원국과 양자회담을 하는 등 미래성장동력원으로 부상한 아세안을 상대로 세일즈외교를 전개하는 한편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통일, 동북아 신뢰구축 구상 등에 대한 아세안 측의 지지를 재확인한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박 대통령은 무엇보다 북핵 문제 해결, 평화통일 구상, 한중일 외교장관 회담에 기초한 3국 정상회담 추진 등을 중점적으로 설명함으로써 한반도와 동북아 신뢰구축에 주도적으로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밝힐 예정이다.

박 대통령은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25주년을 맞아 질적, 양적으로 급성장한 양측의 협력 관계를 평가하고, 다가올 25년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