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혁신위 ‘완전 국민경선제’ 행보 본격 시동

2014-12-09 11:36
시·도당위원장 연석회의…책임당원 권한 약화 지적도

아주경제 조문식 기자= 새누리당 보수혁신특별위원회 산하 공천·선거개혁소위(위원장 나경원)는 9일 국회에서 17개 시·도당위원장과 연석회의를 열고 완전 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 도입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 5일 학계 전문가들을 초청해 간담회를 개최한 데 이어 이날 연석회의를 이어감으로써 본격적인 공천제도 개혁 논의에 앞서 완전 국민경선제에 대한 우호적인 여론을 형성하기 위한 행보로 보인다.

나 의원은 모두 발언을 통해 “그동안 전략공천이라는 이름으로 재량을 넘어선 자의적 판단이 있었다”며 “혁신위는 원칙적으로 국민께 공천을 돌려주기로 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회 본관 [남궁진웅 timeid@]



소위 위원인 황영철 의원은 국회 브리핑에서 “현행 전략공천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국민공천제(오픈 프라이머리)로 가야 한다는 데 대체로 공감을 표시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다만 국민 경선 방식으로 공직선거 후보자를 선출할 경우 당비를 내는 책임당원의 권한과 정당 기능의 약화는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현재 새누리당은 전국에 15만명의 책임당원이 있으며, 1년에 이들로부터 거두는 당비가 70억∼8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총선의 경우 유권자의 관심도가 떨어져 투표율이 저조할 것으로 예상되고, 동시에 상대 당 지지자가 경쟁력이 약한 후보가 선출되도록 투표하는 역선택의 문제점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소위는 여야가 합의해 동시에 후보자를 선출하는 방식으로 완전 국민경선제를 시행하고, 평상시 책임당원이 당무에 참여할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