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빅테이터 활용한 선진 도서행정서비스

2014-11-12 08:42

[사진제공=성남시청]


아주경제 박재천 기자 =성남시(시장 이재명)가 도서관 빅데이터를 활용해 열람실 좌석과 이용 가능 시간, 대여 도서 등을 예측하는 선진 도서 행정 서비스를 펴기로 해 주목된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달 3일부터 도서관 빅데이터 분석 작업을 시작해 이달 말 끝낸다.

분석 데이터 중 하나는 중앙·분당·운중·수정·중원·중원어린이·판교·구미·무지개 등 9개 도서관, 17개 열람실의 1만100개 좌석 점유 현황이다.

세부적으로 최근 2개월간 요일별, 일자별, 30초 단위로 좌석 점유 현황 자료를 분석하며, 열람실 주 이용자의 연령대와 성별 분석을 포함한다.

또, 9개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170만권 책과 최근 1년간 대여가 이뤄진 300만 건 도서 현황을 분석한다.

도서관 이용자들이 주로 빌려 가는 책의 주제, 도서명, 시중 서점의 베스트셀러, 장서 등과의 관련성도 파악한다.

빅데이터 분석 작업을 마치면 도서관 운영 방침에 대한 의사 결정 자료로 활용된다.

도서관별 장서 보유, 열람실 규모 확장, 개방시간 탄력 운영 등 서비스 개선안에 반영돼 시민들의 도서관 이용이 더 편리해진다.

이번 도서관 빅데이터 분석은 성남시 강창조 주무관이 낸 아이디어로 부서별 빅데이터 활용 과제에서 선정됐으며, 이로인한 공공도서관 이용 활성화와 서비스 선진화가 기대된다.

한편 시는 앞으로 분야별로 빅데이터 활용 방안을 넓혀 정책 결정과 시행에 객관성을 확보하고 시민 피부에 와 닿는 행정서비스를 펴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