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APEC서 아베 총리와 '미니 정상회담'...한일 국장급 협의 탄력 받을듯

2014-11-11 18:34

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10일 저녁 APEC 갈라 만찬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옆자리에 앉아 일본군 위안부 관련 국장급 협의의 진전을 독려하는 한편 다양한 현안에 대해 논의를 나눈 것은 정상회담의 축소판으로 보인다.

이에따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경색된 한일관계에도 변화가 있을것으로 예상된다.

한일 정상은 지난해 APEC 때도 옆자리에 앉았으나 의미 있는 대화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당시에는 아베 총리가 박 대통령에게 먼저 말을 걸고 인사를 한 정도의 수준에 그쳤다.

올해는 지난 3월 미국이 주최하는 한미일 3국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일 정상이 대면하기는 했지만 양자 차원의 대화 형식은 아니었다.

이 때문에 두 정상이 현안을 두고 대화를 했다는 것 자체가 의미있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정상간 현안 대화가 외교당국간 '군 위안부 문제 해결' 협의를 촉진시킬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일본, "한일 외무국장급 협의 진전에 의견 일치" 확인

우선 일본 정부는 강하게 의미 부여를 하고 나섰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11일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전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만찬 자리에서 한일 외무국장급 협의를 진전시킨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확인했다.

스가 장관은 이날 오전 정례 회견에서 "두 정상이 APEC 만찬 옆자리에 앉게 된 것을 기회로 여러 의견을 나누었으며 그중에 (양국) 국장협의가 원활하게 진전되도록 해 나간다는 데 일치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한일 간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지만 여러 채널을 통해 계속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게 일본 정부의 기본자세"라고 덧붙였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도 이날 기자들에게 한일 정상이 APEC 만찬 대화를 통해 "양국이 4월부터 정기 개최해온 외무국장급 협의를 원활하게 진전시켜간다는 데 일치했다"고 설명했다.

◇ 정부, "한일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단정 어려워"

그러나 우리 정부 관계자들은 한일 정상 간 이번 만남을 양국관계 개선으로 곧바로 이어서 보는 것에 대해 신중한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양국 정상간 대화의 구체적인 내용이 알려지지 않고 있어 이번 대화가 한일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단정하기 어려운 상태라는 뜻이다.

정부는 근본적으로 한일관계 개선은 과거사 등에 대한 일본의 태도에 달렸다는 입장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는 과거사 현안의 상징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일본이 진정성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일본 내 분위기는 우리의 요구와는 반대로 가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이른바 '요시다 증언'과 관련한 아사히 신문의 오보사태를 계기로 일본 내에서는 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河野)담화 흔들기'가 계속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한일 양국이 매달 국장급 협의를 하기로 했으나 지난 9월 4차 협의 이후 현재까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논의하기 위한 5차 협의 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한일관계 개선 여부는 국장급 협의에 대한 일본의 태도를 봐야 한다는 관측이 여전히 우세하다.

정부 소식통은 11일 한일관계 개선 문제에 대해 "군 위안부 등 과거사 문제에 대한 일본의 태도 변화가 관건"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