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중국내 북한 노동력 지난해 9만3000명, 최근 3년 20% 증가”

2014-11-11 11:24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 북한 근로자들의 중국 입국이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향후 북한과 중국 간 인력이동을 통한 경제협력이 새로운 모델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아 주목된다.

한국무역협회(회장 한덕수) 베이징 지부가 발표한 ‘중국 내 북한 노동자 입국 현황과 시사점’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으로 입국하는 북한 노동자(승무원 포함) 인원이 2010년 5만4000명에서 지난해에는 9만3000명으로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연간 19.9%씩 증가한 것으로 같은 기간 중국내 외국인 근로자 입국자 증가율(9.1%)을 2배 이상 웃도는 수치다. 2014년 상반기에도 4만4000명이 입국하여 연간 기준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치를 보일 전망이다.

중국으로 입국하는 북한 노동자 수는 전체 북한인 입국자 수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많다. 중국으로 입국하는 전체 북한인 수는 2010년 11만6000명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20만7000명으로 2배 가까이 증가하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올 상반기 북한의 총 입국자 수도 9만2000명을 기록하여 지난해와 유사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 중 47.8%(2014년 상반기 기준)가 노동자로 그 비율 면에서 필리핀(63.5%)에 이어 2위를 기록하고 있다. 중국에 대한 전체 외국인 입국자 중 노동자 비율은 12.5%에 불과함을 감안할 때 매우 높은 수치다.

특히, 중국에 입국한 북한 근로자는 대부분 투자와 무관한 외화획득 목적의 인력 수출에 해당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북한이 무역을 통한 상품교역 일변도에서 벗어나 생산자원(인력)의 이동에 적극 나서는 것을 의미하는데, 북한 입장에서는 인력수출이 상품무역보다 부가가치가 더 높아 외화획득에 유리하다.

또한 중국 입장에서는 인력 부족 및 임금 상승으로 약화되고 있는 기업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어서 북한과 중국 간 새로운 형태의 경제협력 모델이 만들어지고 있는 셈이다. 중국 근로자(제조업체) 인건비는 월 2500-3000위안(한화 44만~53만원)인데 반해 북한 인력의 경우는 월 1500-1600위안(한화 26만~28만원) 정도면 채용이 가능하다. 또한 20·30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업무 집중도가 높고 생산성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최용민 무협 베이징 지부 지부장은 “중국내 북한 근로자들이 늘면서 자국민의 일자리를 제한하는 부작용이 있어 기술자를 제외한 일반 노동자의 비자발급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올 정도”라면서 “경제적인 요인만 감안할 때 중국기업에 의한 북한인력 활용은 중장기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