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작권 전환 연기… 용산공원 연합사 잔류지역 3단계로 변경 추진

2014-10-24 11:34
용산공원 마지막 단계로… "보존대상 시설로 영향 미미할 것"

용산공원정비구역 범위.[이미지=국토교통부 제공]

아주경제 이명철 기자 =한국과 미국 정부가 전시작전통제권(이하 전작권) 전환을 사실상 무기한 연기함에 따라 용산기지 내 조성 예정이던 용산공원 조성사업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용산기지 내 일부 필수 적정 규모의 인원과 시설이 남게 됨에 따라 공원 조성 계획도 일부 변경이 불가피한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3일 열린 제46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와 관련해 한미연합사 잔류지역은 여건변화를 감안해 공원조성시기를 조정해 추진키로 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SCM에서 한미 양국은 전작권 전환까지 연합사를 현재 용산기지에 남겨두기로 한 것에 따른 조치다.

용산공원은 국토부가 2011년 발표한 용산공원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에 따라 추진하는 프로젝트다. 용산공원정비구역의 총 면적은 1155만3827.2㎡(옛 350만평)로 용산공원조성지구 242만6748.5㎡(21%), 복합시설조성지구 17만9070.3㎡(2%), 공원주변지역 894만8008.4㎡(77%)로 나뉜다.

이중 한미연합사 본청 건물은 용산공원조성지구에 포함됐지만 보존대상 시설로 분류됐다. 연합사의 잔류여부와 관계없이 건물은 남아있게 되고 연합사 본부는 필수 적정규모로 잔류가 예상돼 전체 공원조성계획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게 국토부 판단이다.

당초 박물관 등의 용도로 사용할 계획이었던 사업 일정은 다소 지연된다. 당초 2단계에 진행될 예정이던 한미연합사 잔류지역은 전작권 전환이 연기되면서 3단계로 포함됐다.

국토부는 2016년부터 용산기지의 평택 이전이 시작돼 2019년께 착공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단계별 조성계획을 보면 2019년부터 2012년까지 1단계 후 순차적으로 2단계(2022~2024년), 3단계(2025~2027년)를 진행하게 된다.

단 연합사 사업 시기가 미뤄지면서 당분간 용산기지 전체 면적의 약 10%에 해당하는 부지가 남게 돼 일부 공원은 녹지가 이어지지 못하고 단절되거나 생태 복원이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용산공원은 남산~용산공원~한강의 단절된 남북 녹지축과 수자원을 복원해 생태축·문화유산·관문·세계문화·놀이·생산공원 6개 테마별 공원을 조성하고 지류와 전통수목을 복원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국토부 용산공원추진기획단 관계자는 “녹지축이 남산에서부터 용산공원 메인포스트 오른쪽으로 내려오게 돼 연합사 부지는 중심에서 벗어난데다 연합사 건물을 헐고 공원으로 조성할 예정도 아니었기 때문에 전체 공원 계획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