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생활산업 명품화 추진…"창조경제 산업으로 육성"

2014-10-21 13:21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정부가 가구와 주방용품, 잡화류 등 각종 생활용품을 만드는 국내 기업을 세계적 명품 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정책 지원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서울 소공동 롯데백화점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생활산업 고도화 대책'을 발표하고 관련 기업들과 의견을 나눴다.

이날 간담회에는 윤상직 산업부 장관, 권영걸 한샘 대표이사, 김종목 귀금속·보석단체장 협의회장 등 국내 생활산업 관계자와 강현구 한국 온라인쇼핑협회 부회장 등 유통업계, 이태용 한국디자인진흥원장, 이기섭 산업기술평가관리원장 등 지원기관 관계자가 참석했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생활산업 분야에 창업과 성장, 글로벌화로 이어지는 협업·성장 생태계를 구축해 세계적인 생활명품을 육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우선 생활용품 분야에서 창조적인 사업 아이디어를 가진 창업자가 시장에 제품을 출시할 수 있도록 디자인과 생산, 마케팅, 유통에 이르는 전 분야에서 전문 기업과 창업 지원기관의 조언을 받도록 지원키로 했다.

또 내수 기업의 수출을 돕는 전문무역상사나 한류콘텐츠 관련 기업과 협업할 수 있는 체계도 갖추기로 했다. 세계적인 기업 육성을 위해 지속적인 혁신의 원천으로 활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 마켓'을 구축하고, 기술 개발로 고부가가치 상품을 생산해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전문무역상사나 한류 콘텐츠 기업과 협업 플랫폼 구축 등을 지원한다는 복안이다.

성장 가능성이 큰 17개 생활용품 품목을 중심으로 '100대 글로벌 생활명품'을 발굴·육성한다는 계획도 제시됐다. 내부 습도를 감지해 제습 기능을 발휘하는 옷장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갖춘 가구제품을 뜻하는 'i-퍼니처', 정보기술 등을 활용해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난감인 '스마트 토이' 등이 사례로 거론된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의 이탈리아 방문을 계기로 구축된 양국 간 디자인 산업 협력채널을 가동해 이탈리아의 명품 산업 노하우를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이와 함께 국내에 20만명이 종사하는 생활용품 산업에 대한 통계와 분석 기반을 마련하는 작업도 병행하기로 했다.

윤상직 산업부 장관은 "생활산업은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성장 가능성이 높고, 아이디어의 사업화가 쉬운 창조경제의 전형"이라며 "생활 산업이 창조산업으로 재도약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산업부는 '창의적(creative)이고 멋진(cool)'이라는 의미를 담은 'CC 산업'을 생활용품 산업의 새 명칭으로 삼자는 안을 내놓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