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가↓· 전세가↑' 부동산으로 본 소비심리는 최악
2014-08-19 18:00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지난 2분기의 서울을 중심으로 전국 주택 매매가 하락과 전셋값 고공행진이 계속됨에 따라 부동산으로 본 우리나라 국민의 소비심리는 최악에 가깝다. 물론 부동산만 놓고 봤을 때의 얘기지만 이에 따른 소비 위축이 전체 실물 경기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는 지적이다.
19일 통계청과 현대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서울의 주택 매매가격이 1.8% 하락했다. 같은 기간 서울의 전세가격은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국으로 놓고 봐도 그 폭은 다르지만 주택 매매가 하락과 전세가 상승은 마찬가지다.
서울의 주택 매매가 하락률은 지난해 3분기 -4.0%, 4분기 -2.4%, 올해 1분기 -1.7% 등으로 작아지다가 다시 한 번 커진 것이다.
이에 반해 서울의 주택 전세가격은 5.8%나 상승했다. 전국적으로도 1년 전보다 4.4% 올랐다. 매매 가격은 하락하는 가운데 전세가격은 오르면서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문제는 이런 움직임이 가계의 소비심리 위축을 유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부동산 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집값이 오를수록 가계 소비가 증가하는 반면 전셋값ㆍ월세가 오르면 소비가 위축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자가에 주거하는 가계는 주택매매가격이 1% 오를 경우 가계소비를 0.13% 늘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향후 부동산을 매각할 때 얻을 수 있는 기대소득이 증가하고 은행에서 받을 수 있는 담보대출 여력이 커지기 때문이다.
반면 전·월세 가계는 임차 비용이 늘 경우 주거비 상승과 대출증가 등으로 소비를 줄이기 때문에 전세와 월세 가격이 1%씩 오를 때 소비는 각각 0.30%, 0.12% 줄었다.
특히 우리나라는 가계 자산 중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아 부동산 시장이 가계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지난해 기준으로 가계의 실물자산 비중은 73.3%에 달해 미국(31.5%), 일본(40.9%), 유로존(58.3%) 등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집값 상승세 부진과 전·월세 가격 불안정이 동시에 나타나면 자가·전세·월세 가계 모두 소비 위축 현상이 크게 나타나 소비와 전체 실물경기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원은 "주택 거래활성화를 통해 부동산 시장의 장기 침체를 방지해 주택보유자들의 자산효과를 통한 소비를 유도하고 임차 가계는 전·월세 가격 안정화로 소비 여력을 키울 필요가 있다"며 "부동산 관련 규제정책을 시장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적용해 민간의 주택투자 확대를 유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