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자동차 연비논란, 완성차 업계 발전 계기돼야

2014-08-19 14:36

 

아주경제 박재홍 기자 = 최근 국내 자동차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사는 단연 연비다. ‘자가용’이 생활필수 이동수단으로 자리 잡으면서 소비자들의 구매 고려 요소가 디자인이나 제조업체 등 외적기준에서 실질적인 성능에까지 확대된 결과다.

이에 따라 국내 완성차업체들도 연비에 대한 높아진 관심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다. 이른바 ‘뻥연비’ 논란으로 부당한 이득을 취해왔다는 것이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12일 국토교통부에서 연비측정결과 부적합 판정을 받은데 대해 연비를 14.4km/ℓ에서 13.8km/ℓ로 변경함과 동시에 현금 보상을 실시키로 했다.

쌍용차와 BMW, 폭스바겐 등 함께 연비 부적합 판정을 받은 타 브랜드와 비교한다면 적극적으로 문제해결에 나선 셈이지만, 현재 소송을 진행 중인 기존 차주들과 보상금액에 대한 의견차이로 논란이 쉽게 잦아들지는 않을 듯 보인다.

이번 논란의 직접적인 원인을 찾자면 기존에 연비측정을 맡아오던 산업통상자원부와 새롭게 연비측정에 나선 국토교통부의 엇갈린 의견 때문이겠으나, 근본적인 문제는 다른데 있다.

지금까지 연비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소비자들이 본격적인 문제의식을 갖기 시작했고, 실제로 연비가 차량 선택의 중요한 기준으로 자리 잡았다는 것이다.

연비는 완성차 업체의 기술력 중에 중요한 경쟁력이다. 독일 완성차업체들의 디젤 세단이 국내 수입차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과, 일본의 완성차업체가 하이브리드 시장을 개척하며 글로벌 시장의 영향력을 확대한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현대·기아자동차를 비롯한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이들 독일이나 일본 업체에 비하면 여전히 기술력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번 연비논란이 단순히 완성차 업체와 정부, 소비자들 사이의 다툼으로 끝난다면 같은 연비 논란은 언제든 다시 불거질 수 있다.

근본적 해결책은 국내 완성차업체들의 각성이다. 소송을 해결하고, 논란만 넘어가면 된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더 많은 자동차를 판매하는 것 보다 미래를 위한 기술력 확보에 더 매진할 시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