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대형 항공참사로 국내 항공업계 안전경영 ‘비상’

2014-08-06 15:47

대한항공 엔지니어가 기체 정비를 하고 있는 모습.[사진=대한항공]


아주경제 이소현 기자 = 최근 잇따르고 있는 대형 항공참사에 국내 항공사들이 안전경영에 비상이 걸렸다. 말레이시아항공의 인도양 상공 실종사고와 우크라이나 상공에서의 미사일 격추, 타이완 푸싱항공 착륙사고와 알제리항공 추락 등 대형참사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항공업계는 안전경영에 고삐를 죄는 모습이다.

6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잇단 항공사고에 대한 경각심과 승객이 급증하는 여름 휴가철을 대비해 국내 항공사들이 안전경영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17년 전 이날은 괌으로 향하던 대한항공 801편 보잉 747여객기가 추락해 254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날이기도 하다. 사고이후 대한항공은 ‘안전은 비용이자 투자’라는 마인드로 항공기 정비에 매년 약 1조원을 투입하고 있다. 이는 대한항공이 연간 지출하는 영업비용 약 11조원 중 9%에 해당한다. 또 직원들의 안전 교육에 매년 1000억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지난해 투입한 예산은 1300억원이 넘는다.

1999년 보잉747 화물기의 런던 추락사고 직후 대한항공의 연간 항공보험료가 1억2000만달러로 치솟았다. 이후 안전경영에 박차를 가하면서 15년간 인명무사고 행진이 이어져 올해는 10분의 1 수준인 1200만달러까지 낮아졌다.

대형 항공참사가 발생한 말레이시아항공 등은 유류비 등의 비용 절감을 위해 위험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단거리 노선이라는 이유로 운항을 강행하거나 무리한 착륙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류비 증가는 항공사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 질 수 있기 때문에 무리한 결정이 잇따른 것이다.

반면 국적항공사들은 비용보다 승객의 안전을 우선해 우회 운항과 회항, 정세가 불안한 지역의 운항 중단 등의 결정을 내렸다. 또 안전 비용 증액과 안전위원회를 신설하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항공사고의 경우 한 번 발생하면 대형참사로 이어져 인명사고는 물론 회사 경영에도 큰 타격을 주기 때문이다.
 

대한항공 엔지니어가 엔진 정비를 하고 있는 모습.[사진=대한항공]


대한항공은 지난달 19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의 전면전 양상으로 치닫는 현지 정세 악화에 따라 인천~텔아비브(이스라엘) 노선에 대해 운항을 중단했다. 대한항공의 운항 중단조치 3일 뒤인 22일에 텔아비브 공항 인근에서 로켓 폭발사고가 발생해 미국 연방항공청(FAA)은 자국 항공사를 대상으로 운항 금지령을 내렸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안전문제로 편당 유류비 100만~200만원 이상의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우회 운항을 결정했다. 회사 내부 위험 평가 결과에 따라 말레이시아항공 MH17편 격추사고가 발생하기 이전인 지난 3월부터 유럽행 항공기를 우크라이나 동부 영공을 거지치 않고 우회 운항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 착륙사고 이후 안전의식을 강화하기 위해 안전위험요소를 익명으로 보고하는 ‘안전 핫라인’을 가동하고 있다. 또 승무원간 유기적인 의사소통을 도모할 수 있는 운항승무원 합동자원관리 훈련 프로그램을 매월 3회에서 4회로 늘렸다. 항공기 운항과 관련된 운항승무원, 객실승무원, 운항관리사, 정비사 등이 참여한다.

‘저가’라는 이유로 노후한 항공기, 부실한 부품, 불안한 정비체계 등의 오해를 사고 있는 저비용항공사(LCC)들도 안전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LCC들도 기존 대형항공사들과 동일하게 국제민간항공(ICAO)에서 정한 규정에 따라 비행 주기마다 정해진 점검‧정비를 실시한다.

아울러 안전비용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제주항공은 최근 경영진 회의를 통해 안전 비용을 확대하기로 결정하고 예산안 변경 작업을 벌이고 있다. 에어부산도 최근 안전위원회를 신설해 안전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비용 절감과 수익성 확보도 중요하지만 한 번의 사고는 단순한 적자보다 회사에 더 치명적”이라며 “모든 항공사들이 안전만큼은 절대 양보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