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인남녀 기업 호감도 ‘47점’… 보통수준 아래로

2014-08-06 14:09
올 상반기 CFI 47.1점, 전반기 대비 4.0점 하락
대한상의·현대경제경제연구원 ‘기업호감도’ 조사


아주경제 양성모 기자 = 국민들이 바라보는 기업 호감도가 보통수준 아래로 떨어지며 기업에 대한 불신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는 현대경제연구원과 함께 최근 전국 20세 이상 남녀 1000여명을 대상으로 ‘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CFI: Corporate Favorite Index)’를 조사한 결과, 100점 만점에 47.1점으로 집계됐다고 6일 밝혔다.

기업호감도 지수는 2011년 하반기 이후 3반기 연속 하락하다 지난 반기 51.1점까지 상승했으나, 반기만에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기업호감지수는 국민이 기업에 대해 호의적으로 느끼는 정도에 대한 평가다. 기업의 상품과 서비스, 기업 활동, 기업인에 대한 평가와 이미지를 통해 형성된다. 100점에 가까우면 호감도가 높은 것을, 0점에 가까우면 낮은 것으로 해석한다. 보통수준은 50을 기준으로 한다.

요소별 점수변화를 살펴보면 전반적 호감도가 45.5점으로 지난해 하반기(49.2)보다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생산성 향상이 67.8점→61.3점, 국제경쟁력은 76.6점→71.2점으로 내려앉았다. 이어 국가 경제 기여는 54.5점→49.6점을, 윤리 경영 실천은 25.2점→22.1점으로, 사회공헌활동도 40.9→39.0을 나타내며 모든 요소에서 점수가 하락했다.

이같은 이유는 경제회복이 국민들의 기대보다 더디게 진행된데다 세월호 참사 등 기업들의 윤리경영 부재 등이 꼽힌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상반기 경제회복에 대한 높은 기대심리가 충족되지 못했고, 환율하락에 따른 수출경쟁력 약화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카드사 개인정보 유출과 세월호 사고 등으로 기업들의 윤리 및 안전경영을 소홀히 하고 있다는 인식도 지수하락의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상의 조사가 이를 방증하는데 국민들은 기업에 호감이 가지 않는 이유로 44.5%가 윤리경영 미흡을 이유로 들었고, 22.3%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소홀을 꼽았다.

국내 반기업정서 수준에 대해서는 ‘높다’는 의견이 62.7%을 나타낸 반면, 향후 우리 경제에 가장 많은 공헌을 하게 되는 주체가 기업이라고 생각하는 국민들은 73.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여러가지 요인이 있지만 경제력집중이 완화되지 못하면서 대기업에 대한 호감도가 떨어지는 것도 전체적인 기업호감지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이럴 때일수록 기업은 더욱 투명하고 책임있는 경제활동을 통해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얻고, 국민들도 기업의 노력에 박수를 보내는 사회가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