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흑자 60%는 중국…한국경제, 중국 의존도 높다

2014-07-23 07:21
내수 시장도 중국에 눈길…금융·부동산 시장은 이미 잠식당해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한국 경제가 중국의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우리 경제 전반에서 중국에 예속되는 현상이 점점 빨라지고 있는 것이다.

무역은 이미 전체 무역수지 흑자 가운데 70%는 중국을 빼놓고 거론할 수 없는 처지다. 최근에는 내수 시장과 금융·부동산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중국 영향력은 절대적인 수준이 됐다.

김도훈 산업연구원장은 최근 한 포럼에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에게 “무역수지 흑자 가운데 중국이 차지하는 게 70%에 달한다”는 화두를 던졌다.

한은이 개입하지 않는 한 외환 거래량 상당 부분이 빠른 속도로 중국 위안화로 채워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부분을 지적한 셈이다.

지난 3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방한으로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이 급진전 하는 등 ‘달러화 중심’의 한국 경제가 ‘위안화 중심’으로 개편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23일 한은 등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총 수출액 6171억 달러 가운데 1349억 달러(21.9%)는 중국 수출이 차지하고 있다.

같은 해 한국의 총 수입액 5366억 달러 중 중국에서 수입한 금액은 876억 달러(16.3%)다. 수출과 수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단연 1위다.

수출에서 수입을 뺀 상품 수지 흑자 규모로 따지면 1998년 7.7%에 불과하던 중국의 비중은 지난해 58.8%로 커졌다.

한국으로선 중국 없이는 수출도 수입도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경제 구조가 심각한 수준에 달했다. 내수 시장도 중국에 대한 의존이 커지고 있다. 명동 상인들은 중국 관광객이 없으면 문을 닫아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카드업계 1위인 신한카드 빅데이터를 보면 지난해 중국인 관광객(일명 요우커)의 국내 카드 이용액은 2012년보다 82.7% 늘었다.

430만 명에 달한 요우커가 한국에서 긁은 신용카드 결제 금액은 3조 8000억원에 달해 전체 외국인 카드 이용액의 약 절반(48.1%)을 차지했다.

요우커에 편중된 외국인 카드 사용은 쇼핑센터·쇼핑몰(70.3%), 면세점(68.9%), 백화점 (65.7%), 할인·편의점(56.4%) 등 유통업계에서 두드러졌다.

실물 경제의 핵심인 금융 부문에서도 중국 자금은 그 영향력이 강해졌다. 중국 투자자들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5월까지 한국 유가 증권 시장에서 1조 4120억 원을 쓸어 담았다. 국가 별 순매수액으로는 가장 많은 규모다.

위안화 예금 잔액은 100억 달러를 돌파해 국내 거주자 외화 예금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달 사상 첫 20%를 넘었다. 위안화 예금은 1년 만에 약 50배로 급증했다.

부동산 시장에서도 중국인이 제주도에 소유한 토지는 지난해 말 315만㎡로 2년 전 2.2배로 넓어졌다. 미국인 소유 제주도 토지(374만㎡)와 버금가는 규모다.

중국 사모펀드 메이퉁(美通)은 한국 부동산에 5조 원을 투자한다. 제주도에 1조원짜리 빌딩 건설을 추진하는 중국 녹지그룹은 한국전력 부지에도 눈독을 들이고 있다.

한재진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이제는 중국계 자본에 무작정 문을 열어줄게 아니라 자본의 성격을 따져보고 개방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