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시진핑 3일 한중정상회담…북핵·한중FTA 현안 논의

2014-07-02 15:13
'북핵불용' 천명 '한반도 비핵화' 명시할듯…원-위안화 직거래 시장 개설
'전략적협력동반자관계' 격상 공동성명 채택…양국간 FTA 조기타결도 모색
방한시 부총리급 3명 등 80명 수행…거물급 기업인 200명 안팎 동행

[사진=청와대]



아주경제 주진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3일 1박2일간의 일정으로 국빈방문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의 발전방안과 북핵문제, 대일(對日)공조 방안, 경제협력 등 제반 분야 현안을 논의한다.

올 3월 핵안보정상회의 참석차 방문한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정상회담을 가진 후 5번째인 이번 회담에서 두 정상은 지난 2008년 합의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실사구시적’으로 내실 있게 발전시키는 데 합의할 예정이다.

특히 시 주석의 이번 방한은 지난해 6월 박 대통령의 국빈 방중에 대한 답방 성격으로 북한 및 일본 방문보다 먼저 이뤄지는 것이어서 동북아 외교지형의 역학관계를 놓고 각별한 주목을 끌고 있다.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2일 사전 브리핑을 통해 두 정상이 이번 회담에서 △북핵 문제를 포함한 한반도평화와 안정증진에 대한 협의 강화 △지역 및 국제문제에 대한 협력강화 등을 논의하고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더욱 성숙한 단계로 발전시키는 계기를 만들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 "북핵 문제에 있어 한중간 북핵불용과 북한의 비핵화 목표라는 공통인식을 바탕으로 구체적 추진방안을 논의하고 한반도 평화안정을 위한 협력과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구현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눌 계획"이라며 "한중일 3국 협력발전 추진과 동북아 평화협력구상, 유라시아구상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눌 것"이라고 말했다.

두 정상은 정상회담 직후 발표할 공동선언에서 ‘한반도 비핵화’ 및 박근혜정부의 ‘국제사회에 도움이 되는 통일론’에 대한 중국 측의 지지도 담을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집단자위권 행사를 위한 헌법 해석 변경을 감행한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부에 대한 경고 메시지 등이 담긴 공동대응 방안도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다.

두 정상은 또 한중 양국 국민의 영사보호 강화를 위한 영사협정을 체결하고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 개설, 한중 FTA 협상촉진에 합의하는 등 10여개의 협력문건에 서명한다.

원ㆍ위안화 직거래 시장 개설은 한ㆍ중간 급증하는 교역량과 금융거래를 원활하게 하고 양국 경제활성화를 위한 정부차원의 협력ㆍ지원체제를 강화하는 차원이다. 올해 말까지 시장운용을 위한 기반시설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박 대통령은 2일 오전 청와대에서 영국계 금융사인 스탠다드차타드(SC)그룹의 피터 샌즈 회장을 접견, "중국의 세번째 무역상대국이며 연각 600억 달러의 무역흑자를 내는 이점을 살려 위안화 거래 활성화에 노력하고 있다"고 언급했고, 샌즈 회장은 이에 대해 "위안화 거래 활성화와 역외 위안화 허브 구축이 한국 금융산업에 구체적이고 실질적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시 주석은 부인 펑리위안(彭麗媛) 여사와 부총리급 인사 3명, 장관급 인사 4명을 포함한 80여명 수행단과 중국의 다수 대기업 CEO 등 200명 규모의 사상 최대 규모의 경제사절단으르 이끌고 방한한다.

중국 측은 시 주석의 방한에 맞춰 중국의 국보인 '판다' 를 임대형식으로 우리 측에 선물할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