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3사, 팬택 출자전환 고심…경영 정상화에 최소 4800억원 필요

2014-06-16 15:06

[이통3사]



아주경제 송종호 기자= 이동통신 3사들이 팬택에 대한 출자전환에 참여해 달라는 산업은행의 요구를 놓고 고민에 빠졌다.

산업은행은 팬택의 주채권은행이다.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팬택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팬택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 4800억 원 규모의 출자전환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이 중 채권단은 3000억 원을,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통3사는 1800억 원을 분담하는 방향으로 추진한다.

이는 팬택이 파산할 경우 이통사들이 받는 피해도 기대 이상으로 커 동참을 해달라는 의미로 분석된다. SK텔레콤이 총 1800억 원 매출채권 중 절반을 보유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KT(30%)와 LG유플러스(20%)가 소유하고 있다.

여기에 이통 3사들은 약 60만 대에 달하는 팬택 스마트폰 재고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팬택이 파산할 경우 판매장려금으로 이미 지불한 매출채권 1800억 원을 되돌려받기 어려워진다. 또한 시장에서 사후 서비스 지속 가능성에 대한 불신 등이 높아져 단말기 판매가 어려워질 수 있다.

지난 3월 산업은행은 채권금융기관 협의회를 열고 팬택의 2차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을 결정했다.
[팬택]
 
다음 달 4일 워크아웃 지속 여부가 결정된다. 이때까지 출자전환을 하지 않으면 팬택은 법정관리를 받게 된다.

앞서 팬택은 2007년 4월부터 약 5년간 워크아웃 상태였지만 2011년 12월 졸업한 바 있다. 워크아웃 종료는 20분기 연속 흑자가 견인했다. 그러나 지난 2012년 3분기 이후 다시 영업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상당수 직원들도 무급 휴가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