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소는 누가 키우나

2014-06-08 14:51

김선국 경제부 기자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소를 키워 자식 대학 보내던 시절은 끝난 것일까.

최근 통계청은 한우 송아지를 키우면 146만5000원의 손해를 본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송아지 산지 가격은 184만5000원으로 전년에 비해 7.7% 늘었고, 송아지 한 마리에 들어가는 연간 생산비는 339만2000원으로 4.2% 증가했다. 이 가운데 사료비는 158만8000원(배합사료비 103만1000원, 조사료비 51만8000원, 완전배합사료(TMR)비 3만9000원)으로 전체 생산비의 절반에 가깝다.

한우고기소와 육우 농가도 마리당 각각 57만3000원, 134만4000원의 순손실을 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번식률은 낮은 데다 사료비, 이자비용 등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만큼 농가가 함부로 소를 키울 수 없게 된 셈이다.

이런 상황에서 농림축산식품부는 생산비 절감과 농가의 경영안정을 위해 지난 3월 배합사료 제조업체별로 공장도 가격 및 영양성분과 축종별ㆍ성장단계별 표준영양성분표를 축산농가에 공개했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

가격ㆍ영양성분 등에 대한 상세정보가 공개되지 않고 있는 데다, 성분이 유사한데도 제품에 따라 가격은 천차만별인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특히 배합사료 가격결정체계의 문제점이 여실히 드러났다. 사료업체가 농가에 직접 공급하거나 대리점, 농협 등을 통해 비슷한 양을 팔더라도 사료가격은 차이가 났다.

정부의 가격 공개결정에도 사료업체는 공장도 가격을 제대로 공개하지 않고 있을 뿐더러, 사료가격의 기준가가 없어 제각각 책정하는 게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료구매량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 사료단가에 대한 부익부 빈익빈 현상도 두드러진다. 규모가 있는 축산농가는 소농보다 낮은 가격에 사료를 공급받고 있는 게 현실이다.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등 시장 개방에 대비한 가격경쟁력 확보, 축산농가의 경영부담 완화 등을 위해 사료수급과 가격안정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손해보는 장사가 되면 소는 누가 키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