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단계별 청년고용 대책] 연령별 여건에 맞는 후진학 제도 확대

2014-04-15 11:52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 정부는 15일 일자리 단계별 청년고용 실태조사에서 드러난 취업자들의 후진학 경로 부족과 관련해 여건ㆍ현실에 따라 선택가능한 제도를 도입하겠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우선 우수 고졸자 대상 채용조건형 계약학과를 오는 2017년까지 70개로 늘리고, 특별전형 규모와 입학자격을 늘리기로 했다. 전문대 재직자 등 특별전형 편입학 규모도 오는 2015년까지 5.5% 확대할 계획이다.

후진학 거점대학도 육성키로 했다. 분야별․업종별 강점이 있는 대학 등을 현장수요 맞춤형 후진학 거점대학으로 지정(10개교 이상)하기로 했다.

또 학위 취득수단 변질 우려를 막기 위해 기업주도의 직무ㆍ학력 연계를 강화시킬 방침이다. 이를 위해 교사(校舍) 교원기준 등 설치 및 운영기준 개선을 통해 학위과정인 사내대학(현행 8개교)을 확대하기로 했다. 

일정기간 산업체 등의 근무경험을 일정한 인증절차를 거쳐 학점으로 인정하는 선행학습 이수제(RPL) 도입 등 제도개선도 병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기업대학 품질관리 법적근거 마련을 위해 인증 및 교육과정 관리 등을 통한 기업대학(현재 17개 기업) 교육수준을 제고하기로 했다. 현장실무 경력으로 교·강사가 될 수 있도록 자격기준 완화 등 ‘평가인정 대상 교육훈련기관’ 요건도 완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