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 1년 톺아보기] ③U헬스케어, 손안의 주치의

2014-04-10 16:14

보건복지부가 주최하는 메디컬 코리아 2014. 올해는 ICT와 헬스케어의 결합 등을 다룰 예정이다. [사진=메디컬코리아 2014 홈페이지]

아주경제 송종호 기자 = 지난해 연말 광화문 서울청사에서 열린 제 27차 경제관계장관회의. 이 날 회의에서 정부는 ‘안전, 건강 등 4대 국민생활분야 융합 신산업 시장 활성화 전략’을 확정·발표했다. 지난해 열린 정부 회의에 주목하는 이유는 향후 U헬스케어의 중점 분야가 이날 정해졌기 때문이다.

이날 정부가 설정한 전략은 지난 2012년 8월 마련한 ‘제1차 산업융합발전 기본계획(2013년-2017년)’과 창조경제 국정과제인 ‘IT·SW융합을 통한 산업고도화 전략’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마련됐다.

정부는 안전, 건강 등 국민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고 새로운 미래 수요에 대응한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 △안전: u-안심생활 서비스 활성화 △건강: 유전체기반의 헬스케어 신산업 창출 △편리: 스마트 홈에너지 관리서비스 확산 △문화: 문화예술 체험형 콘텐츠 비즈니스 창출을 4대 분야 대표 비즈니스모델로 선정했다.

아울러 정부는 향후 시장여건 등을 감안해 4대 국민생활 분야의 유망 비즈니스모델을 지속 발굴하고 시장 활성화 전략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여기서 주목하는 부분은 건강: 유전체기반의 헬스케어 신산업 창출이다. 유전체기반의 헬스케어 신사업은 창조경제의 핵심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분야다.

다음은 보건복지부가 밝힌 유전체기반의 헬스케어 신산업 창출 방안이다.

복지부는 한국인의 유전적 특성에 맞는 ‘유전정보 빅데이터 체제’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기반으로 개인 유전정보를 통해 질병을 예측・예방하고 개인 맞춤의 약물처방, 식이·운동 등 건강생활관리서비스 제공한다.

개인 유전체 분석·해독 컨설팅, 맞춤 의료·제약, 개인 맞춤의 U-헬스케어·웰니스 등 유전체 기반의 신비즈니스 창출 기대한다고 복지부는 밝혔다.

복지부에 따르면 최근 유전체해독 기술 발달로 유전체기반 신산업의 비약적 성장이 전망 된다. 이에 발맞워 정부는 한국인 유전체자원 빅데이터체제 구축, 다부처 유전체사업 등을 전개 중이다.

그러나 부처간 시스템 연계, 한국인 유전체자원의 확보 및 공유·활용(공개) 인프라 등의 미흡으로 기업의 유전체서비스 창출에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장비(NSG), 분석 SW툴 등 핵심기술과 유전체기반의 질병 예측, 진단·치료 기술역량도 아직 취약한 부분이다.

정부는 공공기관이 생산, 보유하고 있는 유전체 자원의 공유와 활용 촉진을 위해, 공공보유 유전체자원, 정부사업 연구결과물 등에 대해 각 소관부처로 제출을 의무화하고 각 관계부처별 유전체자원 보유, 활용 현황 등을 ‘ 국가 생명연구자원 정보센터(KOBIC)’ 에서 중점 관리토록 강화한다고 밝혔다.

특히 오는 2021년까지 총 10만명 한국인 유전체자원(유전체 분석정보 포함)을 확보키로 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약 60만개의 인체 유래물 자원을 포함하여 한국인 유전체자원을 민간 기업과 연구소에 단계적으로 분양·제공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암, 만성질환 등 14대 주요 질환군별로 한국인의 유전적 특징에 따른 질병예측, 최적 치료법을 개발하고 유전체기반의 한국인 맞춤의료 가이드라인을 마련키로 했다.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어떤 유전자를 확보하고 어떻게 관련 사업을 해나갈지가 중요하다”며 “정부가 구체적인 제안을 하게 되면 진단관련 업체들은 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