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해상허브 ‘한국형’ 크루즈 산업 시동

2013-09-02 08:08
고부가가치 사업 부각…중장기 해양산업으로 육성

아주경제 배군득·김선국 기자= 정부가 동아시아 해상 허브를 꿈꾸고 있다. '한국형' 크루즈 산업을 통해서다.

정부는 21세기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각광받는 크루즈 산업를 박근혜 정부의 어젠다인 '창조경제'의 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부합하는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한다는 복안이다.

크루즈 시장은 경제축의 이동, 선박의 대형화, 상품 변화 추세 등에 따라 동북아시아까지 확산될 가능성이 높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꼽힌다. 특히 최근에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국 등지에서 중요한 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미 부산항·인천항 등 주요 항구는 크루즈 전용부두, 국제여객터미널을 유치하는 등 관련 산업 활성화를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하지만 국제 크루즈 산업 여건상 특정 항만의 기항은 크루즈 선사가 좌우하고 있는 만큼 아직까지 변변한 크루즈 선박을 보유하지 못한 한국으로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지적이다.

세계 크루즈 시장은 지난해 관광객 2014만명, 직접 소비액 362억 달러 수준으로 2000~2012년 연평균 10.3%의 고성장을 이루고 있다.

해운·항공·조선·유통 등 관련 산업에 연쇄효과를 미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3만t급 국적 크루즈선 1척 투입 시 경제효과 902억원, 고용 968명 창출이 가능하다.

다만 크루즈선 14만t급 1척 건조 시 아파트 1200세대(20층 15동) 건설기자재가 소요되는 등 막대한 투자가 부담스럽다. 이 같은 투자금에도 불구하고 크루즈 산업은 국가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한 아이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세계무역기구(WTO)에서 크루즈를 21세기 최고의 관광상품으로 선정한 것도 투자 대비 수익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한국의 경우 지난해 국내 기항 관광객 28만명의 직접 지출액만 1300억원 수준으로, 이는 1인당 평균 소비 512달러이며, 일반 관광객의 2배 이상을 지출하는 수준이다. 그만큼 크루즈는 매력적인 산업군인 셈이다.

그러나 정부의 크루즈 허브로 발돋움하겠다는 의지와는 달리 국내 크루즈 산업은 걸음마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크루즈선 정박을 위한 전용부두 등 인프라가 부족하고 기항 유치를 위한 마케팅과 인센티브 미흡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 부산·제주·여수 각 1개 선석(8만t급)을 제외하고 전용부두가 없어 크루즈선이 화물부두에 정박하는 등 시설이 열악하다. 이 때문에 화물부두 이용에 따른 승객 안전과 환승문제, 항만 이미지 저하로 한국항 기피 우려가 발생하는 상황이다.

경쟁국가인 중국(상하이·홍콩·톈진), 싱가포르, 일본 등에 비해 인지도가 낮은 것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단순 기항 확대만으로는 고용 창출과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황진회 해운시장분석센터장은 "국제 크루즈 선사는 매년 20여척이 부정기적으로 부산·제주항 등으로 입항하고 있지만 크루즈 승객 및 승무원의 육상 지출액이 크지 않다"며 "항구시설이 미비해 크루즈 승객과 승무원들이 짧게 체류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황 센터장은 이어 "현재 항만별 크루즈 전용터미널 건설을 추진 중인데 터미널 관리·운영 조직과 이용 선사, 이용 고객 동선, 수하물 이동, 면세판매점 위치 등 운영측면에서 종합적 시설 배치와 운용이 필요하다"며 "전용터미널 관리와 운영 효율화를 위한 개선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