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2조 달러 시대> 대기업-중소기업, 동반성장 가속화

2013-01-04 16:59
합리적인 시장역할 분담, 성장 기반 모색해야

아주경제 정치연 기자=지난해 유럽발 재정위기와 내수 경기침체로 많은 기업이 어려움을 겪었지만 우리나라는 2년 연속 국가 무역수지 1조 달러라는 성과를 이뤘다.

지난 18대 대통령선거에서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가 당선되면서 경제민주화 바람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은 올해 산업계의 최대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 시절부터 '중소기업 대통령'을 선언했다. 박 당선인은 당선 이후 첫 경제단체로 중소기업중앙회를 방문해 중소기업 대표자들과 40분가량 담화를 나눈 바 있다. 이 자리에서 박 당선인은 중소기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9988'을 언급했다. '9988'은 국내 기업의 99%가 중소기업이고 근로자의 88%가 중소기업에서 근무한다는 뜻이다.

박 당선인은 또 징벌적 손해배상제 확대, 중소ㆍ중견기업 연구개발(R&D) 정부지원금 확대, 중소기업 적합업종 실효성 제고, 공정거래위원회 전속 고발권 폐지 등 친중소기업적 정책의 실행 의지를 보였다.

이처럼 새 정부와 맞물려 올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 문화는 산업계에 더욱 빠르게 퍼져 나갈 전망이다. 동반성장에 대한 산업계 전반의 인식도 크게 높아졌다. 산업경쟁력의 관점에서도 동반성장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삼성전자는 협력사에 경영진단 컨설턴트를 파견해 각종 낭비 요소를 없애주고 효율성을 높이도록 유도하고 있다. 또 우수 협력사를 선정해 글로벌 강소기업을 키우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포스코는 협력사의 불량률을 낮추기 위해 전문가를 파견하고 공정 개선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협력사 2세 경영자들을 대상으로 한 경영 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도 동반성장은 반드시 필요하다. 국내 중소 제조업체의 40%가 대기업과 직접거래관계에 있는 만큼 동반성장 문화가 정착되면 중소기업의 고용창출에도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이라는 게 산업계의 시각이다.

지난달 창립 2주년을 맞은 동반성장위원회는 올해 동반성장지수에 참여하는 대기업을 기존 74개사에서 100개사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금융과 의료 등 비제조업으로 동반성장의 참여범위도 확대하고 기업소모성 구매대행(MRO) 대기업과 중소유통사에 대한 감시도 강화키로 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동반성장에 대해 큰 틀에서는 이견이 없지만 각론에 들어가면 서로의 입장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 이를 어떻게 조율할 것이냐는 문제도 향후 함께 풀어나가야 할 과제다.

동반성장위원회 유장희 위원장은 지난달 27일 제20차 위원회에서 "시장경제의 근간을 허물지 않으면서, 소통과 대화를 통한 합리적인 시장역할을 분담하고, 대·중소기업이 더불어 성장할 수 있는 기반 모색을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