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가속기 지반 침하로 불안정 상태 의혹"
2011-03-07 16:18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경북 포항에서 운영하고 있는 3세대 방사광 가속기가 지반 침하 등으로 불안정한 상태라는 의혹이 제기됐다.
7일 대전시청 중회의실에서 대전발전연구원과 과학벨트 대선공약이행 대전비상대책위원회 주최로 열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자문회의’에서 유희열 전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은 “중이온 가속기는 섬세하고 예민한 시설이라 약간의 지진에도 위험하며 포항의 경우 지반이 불안정해 가속기 유치가 잘못됐다”고 말했다.
염홍철 대전시장도 “포항 가속기의 경우 수리를 여러차례 했고 지반 침하 때문에 몇달씩 가동을 하지 못하는 만큼, 과학벨트의 가장 중요한 2개 사업인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유치를 위해서는 암반이 튼튼한지 등이 필수적인 조건”이라고 내세웠다.
이창기 대전발전연구원장은 “공주, 청원, 연기, 대전 등 세종시 인근 지역은 1979년 이래로 진도 3.6 이상 규모의 지진이 없을 정도로 암반층이 존재하고 지반침식이 발생하지 않는 안정된 지반지역”이라고 강조했다.
이창기 원장은 이외에도 과학벨트가 충청권에 조성돼야 하는 이유로 대덕특구 등 충청권에는 출연연을 중심으로 공공연구기관의 69%에 해당하는 연구인력이 집중돼 있고 이미 정부가 세종시에 대규모의 토지를 매입했기 때문에 가속기 조기건설이 가능한 점, 국토의 중심에 위치해 전국의 대학, 연구소, 기업에의 접근성이 용이한 점 등을 내세웠다.
이날 미래대전기획위원회 과학분과 소속 위원들도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를 위한 의견을 펼쳤다.
김대유 전 청와대 경제수석은 “과학벨트는 수도권을 포함해 생각하더라도 투자비용, 효과 등 여러가지 면에서 충청권이 입지로 손색이 없다”면서 “호남권, 경북권 등과만 비교하지 말고 전국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며 과학벨트를 분산 배치하려는 시도에 대비해 분산 조성해 성공한 외국의 사례 등이 있는지 등을 조사해야 한다”고 전했다.
송하중 전 정책기획위원장은 “과학벨트 문제는 3조5천억원이라는 거대한 자원과 인력이 움직이는 사안으로 정치적인 판단과 선택에 의해 좌우될 수밖에 없는 만큼 그에 맞춰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안제 전 신행정수도건설추진위원회 위원장도 “과학기술 선진화와 경제발전, 국토 균형발전이라는 국가적 목표를 달성하는데 충청권이 가장 적합하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염 시장은 “상식대로, 순리대로 하면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가 수순일 것으로 보인다”면서 “우려되는 점은 다른 곳으로 분산 배치되거나 원안이 축소되는 것인데, 과학벨트를 조성하지 않느니만 못하게 되는 이 같은 최악의 시나리오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