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류)이달 중 확대 운행될 M버스 "이대로 좋은가?"
2010-11-08 18:35
8일 오전 6시 30분 화성시 동탄신도시 신도브래뉴 정류장 일대. 동탄신도시에서 상대적으로 남측에 위치한 이 정류장 앞에는 60명이 넘는 사람이 버스를 타기 위해서 대기해 있었다. 그리고 'M4403'번 버스가 첫 정류장인 이 곳에 닿은 이후 모든 좌석은 주인을 찾았고 입석 승객 없이 바로 출발했다.
하지만 이 버스는 첫 정류장 이후로 아무 정류장도 정차하지 않고 동탄을 빠져나갔다. 예당마을 등의 원래 정차하지 않는 정류장은 물론 다은마을 등의 정차하는 정류장도 통과했다. 더불어 첫 정류장 신도브래뉴에는 버스에 오르지 못한 20명 이상의 사람이 있었지만 버스는 곧바로 출발했다.
어찌보면 잘못된 상황이라 생각될 '무정차 통과'와 '승차 거부' 이지만 M4403번에 한해선 위 상황이 온당하다. 국토해양부가 지정한 광역급행버스 노선인 M4403번은 정원인 39명을 넘을 경우 추가 승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M4102'번(분당~종로) 등 'M'으로 시작하는 노선 모두 같다.
◆기존의 6개 노선에 추가로 7개 노선이 확대될 'M버스'
▲국토부가 지난 10월27일 발표한 광역급행버스 (M버스) 확대운행방안 |
2010년 8월 10일부터 6개 노선의 운행을 시작한 'M버스'. 국토해양부가 개설하고 광역지자체가 관리하는 M버스는 현재 수도권 6개 지역과 서울 주요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넓은 좌석 간격(39석 차량 운용) ▲입석 금지(버스 앞문 옆 창에 승차 가능 인원을 표시하는 전광판 부착) ▲기점, 회차지 각 5㎞ 이내에 4개 이상 정류장 지정 ▲좌석 젖힘(리클라이닝) 가능 ▲운행 정보 전광판 차내 설치 등의 다양한 서비스로 승객들의 인기가 높다.
M버스는 기존의 6개 노선 외에 이달 말에 7개 노선이 더해진다(상기 표 참고). 비수혜 지역인 수원영통·안산·본일산·운정·인천논현 등으로 수혜 지역이 넓어졌고 민원이 많았던 화성동탄~서울역 노선도 생겼다. 또한 서울과 유동 인구가 많은 일산은 도심·여의도·강남 방향의 노선을 모두 구축하게 됐다.
◆다수의 승객들 "M버스는 좋다. 그러나…"
M버스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승객이라면 같은 구간을 운행하는 버스로 M버스 노선과 일반 노선이 있을 경우에는 M버스를 선택한다. 광역버스와 같거나 비슷한 운임으로 편리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일산신도시 대화역 2번출구 인근의 M7106번 버스정류장(왼쪽). 50명이 넘는 인원이 대기해 버스를 기다린다. 과거 인기가 많던 기존 노선(1000번·2000번·8880번·9714번) 이용 승객은 다소 줄었다. |
하지만 M버스에 만족하는 승객이 불만히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기존 버스에 비해 편한 점도 많지만 일부 규제에 한해 불편을 호소하는 목소리도 빈번하다.
서울 출근을 위해 M4403번을 타고자 신도브래뉴 정류장에서 장시간 대기하던 김철수(가명, 32)씨는 동탄에서 가장 동북측에 위치한 예당마을 거주자이다. 김씨는 동탄에서 서울로 향하는 길목인 동탄IC 인근에 살지만, 아침마다 서울 반대 방향에서 M4403번을 타고 있다. 김씨는 "출근 시각에 집 앞에서 M4403번을 타는 생각은 이미 예전에 접었다"며 "1550-2번이 집 앞에 서지만 다를 바 없다. 이렇게 10분 쯤 뒤로 온다면, 출근길이 한결 나아진다"고 밝혔다.
인천시 연수구청 인근과 강남을 오갈 일이 잦은 허효진(가명, 25)씨는 동막역까지 가서 M6405번을 이용했다. 허씨는 "승객이 적어 빈 체로 다니는 노선이 정류장 수 제한에 묶여서 송도의 3개 정류장 외엔 동막역에만 서고 '동막역~연수구청~청학동~문학터널' 긴 구간을 무정차 통과했다"고 말했다.
이어 "얼마 전 버스 회사가 제3경인고속화도로 개통에 맞춰 기존 M6405번을 송도 출발 노선과 청학·연수·동막 일대의 노선으로 분리했다. 운행 거리가 10㎞ 이상 짧아지고 시간 또한 20분 이상 짧아진며 수혜 지역도 대폭 늘어난다. 하지만 이러한 변경안을 국토부가 원상복귀 명령을 내려서 청학동·연수동·동춘동 20만명 주민은 M6405번을 타려면 동막역까지 가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고 들었다. 유연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국토부 측의 대응이 아쉽다"고 비판했다.
이준혁 기자 leejh@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