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요트산업에 진출한 중소기업들의 '속앓이'

2010-10-18 15:01

(아주경제 이미경 기자) 최근 국내 해양레저장비산업을 주도하는 중소기업들이 남모를 속앓이를 하고 있다. 관련업계 종사자들은 요트산업이 부자들만의 전유물이라는 시각 때문에 육성이 쉽지않다고 입을 모은다. 이들은 무엇보다 요트산업에 대한 정부의 시각이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세계 선진국들은 30여년전부터 해양레저장비산업을 중요산업으로 육성 발전시켜왔다. 이 산업의 시장규모는 연간 500억 달러 이상에 이르고 있다.

국내 시장의 상황은 이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는게 업계 종사자들의 설명이다. 현재 요트산업은 정부차원에서 호화사치 품목으로 통제되고 있다. 4년여전에 해양레저장비에 대한 39%의 특별소비세와 관련세가 면제되는 등 호화사치 품목으로 통제되어왔다.

그 이후에 수상레저안전법, 플레저보트 관련법 등이 신설됐으나 아직 현실을 반영한 관련 법령에 대한 정비가 부족하다고 관련업계 종사자들은 하소연하고 있다.

요트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한 기업 사장은 "아직 이 산업에 대한 정부의 육성의지 부재나 선입견 등으로 관련업종의 95% 이상이 영세한 상태"라며 "유능한 인력의 채용 및 양성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한 중소업체는 요트 한 대를 생산하기 위해서 대당 12억원의 비용이 들어간다. 투자비용에 비해 마진율이 낮아 대기업들의 관심은 여전히 미약하다.

업계 종사자들은 요트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육성·발전하려면 기존의 항만물류, 어업, 수산업 중심의 국가 정책기조를 과감히 변화시키는 혁신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해양레저 스포츠와 관광산업, 레저장비 산업을 함께 육성하는 방향으로 다각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 산업의 육성을 위해서는 국산 장비 구입시에도 금융지원으로 수요창출과 국내산업에 대한 지원도 필요할 것이다.

이 산업의 육성과 함께 영세업체들에 대한 사업현황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 업계의 현실에 맞는 맞춤형 인력지원사업도 필수적으로 추진해야한다. 이 사업을 육성하는 주체가 중소기업인 만큼 정부가 지원에 적극 나서 그 의지마저 꺾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esit917@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