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6 서울올림픽 경제 타당성 확보…본격 유치 시동
기존 시설, 타 시·도 경기장 등 활용
시민 85.2% 찬성…선정 절차 매진
서울시가 2036 서울올림픽 유치 필수 요소인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하고 본격적인 올림픽 유치에 시동을 걸었다.
서울시는 25일 올해 5~11월 ‘2036 서울올림픽 유치를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를 진행한 결과, 편익/비용 비율(B/C)이 1.03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올림픽 유치를 희망하는 지자체장은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제6조에 따라 한국스포츠과학원 등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정하는 전문기관에 사전타당성 조사를 의뢰하고 그 결과를 제출해야 한다. 이에 서울시는 한국스포츠과학원이 진행한 조사에서 B/C 1을 넘으며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했다.
총비용은 경기운영·숙박·문화행사·홍보 등 대회운영비 3조5405억원(69.7%), 경기장 개보수와 임시경기장 설치 등 시설비 시설비 1조5428억원(30.3%)이다.
총편익은 가구당 평균 지불의사가격(WTP)을 바탕으로 추정한 비시장적 편익 1조9307억원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지원금, 마케팅·티켓 판매수익 등 조직위원회 자체 수입 2조5400억원으로 올림픽 대회 기간 중 발생하는 시장적 편익의 합으로 산정됐다.
서울시는 1988년 서울올림픽 경험과 유산을 바탕으로 신축 없이 기존 경기장을 최대한 활용할 계획이다. 일부 부족한 시설은 다른 시·도의 경기장을 활용해 5조원 수준의 ‘최저 비용’을 들여 경제적이면서 지속 가능한 대회를 구현하겠다는 방침이다.
실제 2012년 런던 올림픽 16조6000억원, 2016년 리우 올림픽 18조2000억원, 2020년 도쿄 올림픽 14조8000억원, 2024년 파리 올림픽 12조3000억원 등 최근 10년 간 올림픽 개최 비용은 모두 10조원을 넘어섰다.
서울에서 기존 시설을 재활용할 수 있는 곳으로는 '88서울올림픽 경기장', 2026년 리모델링이 완성될 ‘잠실 올림픽주경기장', 2032년 조성될 잠실 스포츠·MICE 복합단지' 등이 꼽힌다. 또 광화문·한강 등 주요 명소에 비치발리볼, 양궁, 스케이트보드 등의 임시 경기장을 설치한다는 구상이다.
이밖에 서울시는 경기도, 인천시, 부산시, 강원도 등 타 시·도의 주요 시설물, 해양스포츠 경기장 등을 공동 활용하기로 협의를 마쳤다고 설명했다.
2036 서울올림픽 유치에 찬성 여론도 우세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민의 85.2%가 올림픽 유치에 찬성했다. 2036년 서울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할 것으로 인식하는 응답도 93.8%에 달했다.
서울시는 경제적 타당성과 지역 주민의 지지도 두 요소를 모두 충족한 만큼 2036 서울올림픽 유치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한편 앞서 서울시는 지난달 12일 2036년 서울올림픽 유치를 위해 대한체육회에 개최계획서를 제출했다. 이후 26일부터 이틀간 진행되는 현장실사, 종합평가 등 선정 절차 준비에 매진해 왔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이날 2036 서울올림픽 유치에 대한 의지를 재차 드러냈다.
오 시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서울올림픽, 본격적으로 뛰겠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내일 현장 실사를 시작으로 (2036 서울올림픽의) 본격적인 준비가 시작된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오 시장은 “2036 서울올림픽은 대한민국의 소프트파워와 미래 비전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역사적인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사전타당성 조사 결과를 언급하며 “지속 가능한 올림픽, 도시와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올림픽 그리고 스포츠를 통해 모두가 연결되는 세상. 서울올림픽이 보여줄 수 있는 가치”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