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기후·기술' 메가트렌드 대비한다···미래대응금융 TF 개최
2024-11-28 14:00
금융위, 전 금융업권·기관·학계와 미래 대응 과제 논의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8일 전 금융업권 협회·유관기관·연구기관·학계 등과 함께 '미래대응금융 태스크포스(TF)'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인구구조 변화 △기후 변화 △기술 혁신 등 3대 변화에 대응해 앞으로 금융이 대응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완화·적응·혁신의 관점에서 논의가 이뤄졌다.
김 부위원장은 "최근 경제·금융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어 각별한 긴장감을 가지고 대응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우리 경제·사회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메가트렌드에 대해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거대한 변화의 추세를 바꾸기는 어렵지만 대응 여하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성장과 혁신의 기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시각을 전환하고 대응방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민해 달라"고 당부했다.
금융위는 지난 4월 미래대응금융 TF를 발족해 △인구TF 5회 △기후TF 5회 △기술TF 6회 등 분과별 TF로 금융시장과 산업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중장기적인 대응 방향을 논의해 왔다. 이번 회의에서도 인구·기후·기술의 3대 미래 변화 요인에 대한 금융 정책대응 방안을 제안했다.
먼저 인구 분야에서는 송민기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이 청년도약계좌를 생애주기 자산 형성 면에서나, 주택 마련 연계 등을 고려해 충분한 지원이 이뤄질 수 있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실거주요건 완화 등 주택연금 가입 유인 제고, 퇴직·개인연금의 장기수익률 제고 등의 활성화 필요성을 제안했다. 이외에도 국내 증시로 투자자금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과 자본 생산성·자본시장의 장기수익성 제고 방안 등도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기후 분야에서는 박지원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이 △녹색여신 관리지침 제정 △금융배출량 측정·관리 노력 강화 등 기후금융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고, 기후변화 스트레스 테스트 실시 등을 통한 금융회사의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기술 분야에선 박영호 BCG 파트너가 생성형 인공지능(AI), 임베디드 금융, 클라우드, 탈중앙화 금융(규제Defi) 등을 금융 분야에서 활용 잠재력이 높은 분야로 언급했다. 또 기술 활용과 동시에 예측하기 어려운 리스크에 대비해 회복탄력성을 확보해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금융위는 분과별 TF 논의를 통해 구체화된 과제는 제도화하는 한편,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대응이 필요한 과제들은 범정부 논의 과정에서 공론화해 반영해 나갈 수 있도록 추진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