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여파에 소비·투자 부진…KDI, 올해 韓 성장률 2.5%로 하향 조정

2024-08-08 12:00
KDI 경제전망 수정…내년 성장률은 2.1% 유지

서울 명동 골목 상가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보다 0.1%포인트 낮춰 잡은 2.5%로 제시했다. 수출이 호조세를 보이고 있지만 내수 부진이 경제의 발목을 잡는 모양새다.

KDI는 8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KDI 경제전망 수정'을 발표했다. 

앞서 KDI는 지난 5월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6%로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내수를 중심으로 성장세가 조정되고 있다는 판단에 이날 성장률 전망치를 2.5%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한국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개발은행(ADB) 등의 전망과는 동일한 수치다. 정부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예측치인 2.6%보다는 0.1%포인트 낮다.

내년 성장률은 기존 전망과 동일한 2.1%로 예상했다.
수출 호조에도 내수는 부진…고금리 장기화 여파
KDI가 성장률을 낮춰 잡은 것은 수출은 호조세를 보이고 있지만 내수는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반도체 경기가 예상보다 높게 진행되면서 수출은 상향 조정했지만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내수를 하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1분기 경제성장률은 전기 대비 1.3% 성장했지만 2분기 -0.2%의 역성장을 기록한 주된 요인이 민간소비의 낮은 증가세와 투자 둔화 등에 있다는 의미다. 

특히 고금리가 장기화되면서 민간 소비가 기존 전망(1.8%)보다 0.3%포인트 낮은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설비투자 역시 반도체 호조세가 투자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에 1.8%포인트 내려잡은 0.4% 증가로 예상했다. 건설투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의 파급이 제한적인 수준에 그치면서 -1.4%에서 -0.4%로 감소폭을 줄였다.

반면 반도체경기가 기존 예상보다 호조세를 보이면서 총 수출은 기존 전망(5.6%)보다 1.4%포인트 높인 7%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 전망치는 상향 조정했지만 내수는 하향 조정하면서 경상수지 흑자폭은 67억 달러 확대된 770억 달러를 기록할 전망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내수 부진과 국제유가 안정세를 반영해 2.4%로 0.2%포인트 낮춰 잡았다. 근원물가 상승률도 기존 전망(2.3%)보다 0.1%포인트 낮은 2.2%로 내다봤다. 내수 부진을 반영해 취업자 수 증가폭은 24만명에서 20만명으로 낮춰잡았다.
중동 긴장·美中 경기 급락 우려…"금리 정상화해야"
중동의 지정학적 긴장과 중국·미국 경기 급락은 우리 경제 회복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국제유가가 급등할 경우 물가 상방압력과 경기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다. 중국과 미국의 경기가 점진적으로 조정될 가능성이 높지만 경기 침체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올해 말 미국 대선 이후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될 경우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국내 상황도 녹록지 않다. 물가상승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될 경우 내수 회복이 지체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다. 정 실장은 "금리 인하가 저희 생각보다는 지연되는 상황으로 상반기 고금리의 부정적 영향이 강했던 측면이 있다"며 "물가가 어느 정도 안정된 상황에서 금리도 정상화된다면 불필요한 내수 부진이 해소되는 방향으로 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지난 5월 경제전망에서도 기준금리를 점진적으로 조정하는 게 좋겠다고 말한 바 있는 만큼 언제든 기준금리를 조정하더라도 국내 경제상황과 어긋나지는 않는다고 보고 있다"며 "8월 금융통화위원회가 있는 만큼 그때도 (기준금리 인하를)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최근 주식시장 변동성이 커지는 것에 대해서는 "실물경제로 퍼질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조금 더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면서 "다만 주식시장 이외의 실물지표를 봤을 때 경기 급락을 시사하는 지표가 그렇게 많지는 않다. 주식시장의 파급이 실물경제로 온다고 단언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