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부산시, 해양모빌리티 글로벌 규제 해법 찾다

2024-08-01 09:30
한-유럽 협력,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혁신특구 국제공동연구개발 업무협약 체결

이번 업무협약은 7월 30일부터 8월 2일까지 영국 버밍엄·코번트리에서 개최되는 유럽-한국과학기술회의EKC Europe-Korea Conference on Science and technology 2024에 시와 부산테크노파크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글로벌 혁신특구 사업 참여기업 등이 참석함에 따라 이와 연계해 이뤄졌다사진부산시
이번 업무협약은 7월 30일부터 8월 2일까지 영국 버밍엄·코번트리에서 개최되는 '유럽-한국과학기술회의(EKC, Europe-Korea Conference on Science and technology) 2024'에 시와 부산테크노파크,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글로벌 혁신특구 사업 참여기업 등이 참석함에 따라, 이와 연계해 이뤄졌다.[사진=부산시]
부산시와 부산테크노파크는 지난 7월 31일 영국 코번트리 워릭대학교에서 한-유럽조선해양전문가협회와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글로벌 혁신특구 국제공동연구개발 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글로벌 혁신 특구'는 신제품 개발과 해외 진출을 위한 규제, 실증, 인증, 허가, 보험 등 국제 표준에 맞는 제도를 적용하는 한국형 혁신 클러스터 사업이다.

이번 협약은 '유럽-한국과학기술회의(EKC 2024)'와 연계해 이루졌으며, 부산 기업과 유럽 연구자들이 조선해양기술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협약 체결로 선박 온실가스 통합관리 솔루션, 암모니아 벙커링 탱크로리 안전관리 시스템 공동연구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부산시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유럽-한국과학기술회의 2024'에 참여한 유럽 현지 조선해양 전문가들과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기술의 국제공동연구개발 성공을 위한 원탁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한국 대표단과 유럽 현지 조선해양 전문가 등 50여 명이 참석해 열띤 논의를 펼쳤다.

국제공동연구개발에 참여하는 엠사는 이번 유럽-한국과학기술회의에 참여해 영국 스트라스글라이드대학 조선해양공학 연구팀과 국제공동연구개발의 구체적 방향성을 논의했다. 엠사는 유럽 현지 연구자들과의 만남을 통해 연구개발 추진에 큰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번 회의를 통해 엠사는 국제공동연구개발의 세부 방향을 구체화하고, 향후 협력 가능성을 확인하며, 유럽 현지의 기술 및 전문 지식을 활용한 연구개발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계획이다. 엠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산시는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글로벌 혁신특구 지정을 계기로 친환경·디지털 자율운항 선박 등 미래형 선박 중심의 선박기자재·선박관리 산업을 육성할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박동석 시 첨단산업국장은 이번 유럽과의 협력이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산업 육성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