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협회, "한국형 방폐물 처분 솔루션으로 12조원 감축 가능"

2024-07-29 17:29
구리·주철 이중 처분용기 활용…비용 최소화
"영구처분장 2050년대 초반까지 확보 가능"

한국원자력협회는 29일 세종시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국형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 솔루션'을 공개했다. [사진=김유진 기자]
한국형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 솔루션을 통해 유럽의 처분장보다 70% 이상 사용 면적을 감축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고준위방폐물 영구처분장을 오는 2050년까지 확보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원자력학회는 29일 세종시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형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 솔루션'을 공개했다. 

학회는 정범진 학회장을 필두로 문주현 단국대 에너지공학과 교수, 박홍준 사용후핵연료관리핵심기술개발단 사업지원본부장, 윤종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 조동건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용후핵연료저장처분기술개발단장 등으로 구성된 특별위원회에서 한국형 솔루션을 도출했다.

이들이 제안한 솔루션은 사용후핵연료를 구리와 주철로 만든 이중 처분용기에 담아 지하 500m 깊이의 화강암반에 설치한 시설에 처분하는 것이다. 개념적으로는 스웨덴·핀란드 방식과 동일하다. 하지만 처분 용기의 구리 두께와 처분용기에 담을 사용후핵연료 다발 수, 처분공 이격 거리 등을 공학적으로 최적화해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처분장 면적과 처분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국형 솔루션은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제2021-21호의 안전목표치를 충족하는데다 경제성까지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 학회 측의 설명이다. 동일한 물량을 처분한다고 가정할 경우 핀란드의 심층처분 개념을 적용했을 때보다 처분장 면적은 70% 가까이 줄이고 경제성은 30% 이상 높일 수 있다고 봤다.

학회는 "이 솔루션을 적용하면 사용후핵연료 다발 수를 기존 4다발에서 최대 7다발까지 늘릴 수 있다"며 "파야 될 처분 공의 숫자도 줄어들고 면적도 감축할 수 있다. 러프하게 보면 12조원 정도가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또 고준위방폐물 영구처분장을 2050년대 초반까지 확보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정부는 현재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연구용 지하처분연구시설(URL) 공모를 진행하고 있다. URL이 적기에 구축돼 조사 결과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처분부지 확보를 병행 추진한다고 전제했을 때 영구처분장 확보 계획을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학회는 "정부의 로드맵은 2차 방사능 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에 준해 설정됐다. 당시 2043년 전 중간 저장시설을 확보해 운영하고 부지를 선정하면 2053년에 최종 처분장을 건설, 운영할 예정이었다"며 "당시 연구용 URL이 계획에 담기지 않았다. URL에서 일정을 단축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고, 선례들을 충분히 활용하면 2050년 이전에 최종 처분장을 건설, 운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범진 학회장은 "한국형 처분 솔루션을 통해 가능성이 높은 방향으로 하향선택을 해나가면서 솔루션 지향적 연구를 한다면 우리나라에 적합한 고준위방폐물 처분사업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