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소비자정책포럼] "위기의 유통업계…혁신 없이는 경쟁서 이길 수 없어"

2024-06-26 17:00

2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15회 소비자정책포럼'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우영문 롯데마트 리드 프레시 팀장, 이동일 한국유통학회장, 윤수현 한국소비자원장, 임규진 아주경제신문 사장,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김인호 한국유통포럼 회장, 정태영 무신사 커뮤니케이션본부 ESG팀장.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국내 유통기업들이 절체절명의 위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AI(인공지능), 빅데이터 도입 등 유연하고 혁신적인 전략이 절실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아주경제신문이 2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주최한 '제15회 소비자정책포럼'에서는 '국내 유통시장 위기 속 신(新)경영전략'을 주제로 정부와 학계, 업계 전문가들의 활발한 논의가 이뤄졌다. <관련기사 8·9면>

임규진 아주경제신문 사장은 개회사를 통해 유통업계 경쟁력을 높일 방안으로 AI(인공지능), 빅데이터, 자율주행을 꼽았다. 그러면서 경기 침체와 수익률 하락, 소비 행태 변화에도 민감하게 대응해야 하는 시기라고 역설했다. 

윤수현 한국소비자원장은 축사에서 생성형 AI 기술들도 소비자 만족과 신뢰, 안전에 목표를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각계 전문가들은 현재의 유통 시장을 '초경쟁 시대'로 규정,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급격한 변화에 맞서 기업들이 뼈를 깎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이뤘다. 

김인호 한국유통포럼 회장은 대형마트 부진, 중국의 이커머스 기업인 알리 익스프레스·테무 현상 등이 겹쳐 오프라인 유통기업들이 위기를 맞았다고 진단했다. 실제 38조원(2013년 기준)이었던 국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228조원(2023년 기준)으로 증가했다. 

김 회장은 오프라인 유통업계 부진 타개책으로 일본의 주요 백화점들이 임대 부동산 형태로 탈바꿈한 사례를 예로 들었다.

이동일 한국유통학회장은 중국 이커머스 기업들의 국내 진출을 무조건 막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국내 유통산업 근간이 되는 도소매업 경기 불황을 방치한 것이 국내 시장 침체로 이어졌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