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불확실성 커지자 보험사 계약대출·해지 급증
2024-06-23 19:00
'생보사 빅3' 2년 계약유지율 1년 새 70.1%→57.2%
계약대출 잔액 3분기째 70조원대…가계 연체율 0.6%
생보업계, 보장성 보험 늘리며 불황·IFRS17 대응 나서
계약대출 잔액 3분기째 70조원대…가계 연체율 0.6%
생보업계, 보장성 보험 늘리며 불황·IFRS17 대응 나서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자 보험소비자들이 보험을 해약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당장 급전이 필요하지만 보험상품의 보장을 포기하기도 어려워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감수하고 보험계약대출을 이용하는 사람도 증가하고 있다.
23일 금융당국과 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생명·한화생명·교보생명 등 이른바 ‘생보사 빅3’ 기업별 2년(25회차) 계약유지율의 평균치는 57.2%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70.1%) 대비 12.9%포인트 급락한 수치다. 전체 생보업계로 범위를 넓혀도 2022년 69.3%에서 지난해 60.7%로 2년 계약유지율이 8.6%포인트 낮아졌다. 같은 기간 손해보험업계 2년 계약유지율이 72.5%에서 71.6%로 0.9%포인트 떨어진 데 그친 것과 비교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저축성보험 비중이 높은 생보업계 유지율이 특히 저조하다”며 “2021년 이후 고금리 기조로 인해 저금리 저축성보험의 해지가 늘어나는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계약유지율은 앞서 체결된 계약 중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계약의 보험료 비율이다. 이 수치가 하락하면 해약환급금 지급이 늘고 보험료 수입은 줄어 보험사 실적에 악영향을 미친다. 계약유지율이 큰 폭으로 떨어진 생보업계는 올해 1분기 1조8749억원의 순이익을 거둬들였다. 이는 작년 1분기(2조8761억원) 대비 34.8% 적은 규모다.
이에 대응해 생보업계는 종신·건강보험과 같은 보장성보험을 적극적으로 늘리고 있다. 보험소비자들이 해지하기 어려운 상품 판매를 늘리는 동시에 새 회계기준(IFRS17)에 따른 순이익 지표도 관리하겠다는 의도다. 생보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생보사 빅3의 보장성보험 초회보험료는 전년 동기 대비 107% 확대된 1864억원으로 집계됐다.
계약유지율이 낮아지는 가운데 ‘불황형 대출’로 불리는 보험계약대출은 증가세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말 기준 보험계약 대출 잔액은 70조1000억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말(71조원)보다 소폭 줄어든 수치지만, 1년 전과 비교하면 1조9000억원 확대됐고 3분기째 역대 최다 수준인 70조원대를 유지했다. 보험사 전체 가계대출 연체율도 0.60%까지 올라 1년 사이에 0.17%포인트 상승하는 등 차주들의 상환 여력도 빠듯해지고 있다.
보험계약대출이 불황형 대출로 꼽히는 이유는 낮은 신용도 등을 이유로 은행권 대출이 어려운 금융소비자가 보험계약을 해지하는 대신 이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은행권 대출보다 금리도 높은 편이다. 더욱이 해지환급금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구조인 만큼 보장이 필요할 때 보험금을 적게 받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고금리 지속에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저축성보험 해지가 늘어나는 등 보험업권도 영향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며 “기업별로 계약유지율 개선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면서도 계약대출 금리를 낮추는 등 상생금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3일 금융당국과 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생명·한화생명·교보생명 등 이른바 ‘생보사 빅3’ 기업별 2년(25회차) 계약유지율의 평균치는 57.2%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70.1%) 대비 12.9%포인트 급락한 수치다. 전체 생보업계로 범위를 넓혀도 2022년 69.3%에서 지난해 60.7%로 2년 계약유지율이 8.6%포인트 낮아졌다. 같은 기간 손해보험업계 2년 계약유지율이 72.5%에서 71.6%로 0.9%포인트 떨어진 데 그친 것과 비교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저축성보험 비중이 높은 생보업계 유지율이 특히 저조하다”며 “2021년 이후 고금리 기조로 인해 저금리 저축성보험의 해지가 늘어나는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계약유지율은 앞서 체결된 계약 중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계약의 보험료 비율이다. 이 수치가 하락하면 해약환급금 지급이 늘고 보험료 수입은 줄어 보험사 실적에 악영향을 미친다. 계약유지율이 큰 폭으로 떨어진 생보업계는 올해 1분기 1조8749억원의 순이익을 거둬들였다. 이는 작년 1분기(2조8761억원) 대비 34.8% 적은 규모다.
이에 대응해 생보업계는 종신·건강보험과 같은 보장성보험을 적극적으로 늘리고 있다. 보험소비자들이 해지하기 어려운 상품 판매를 늘리는 동시에 새 회계기준(IFRS17)에 따른 순이익 지표도 관리하겠다는 의도다. 생보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생보사 빅3의 보장성보험 초회보험료는 전년 동기 대비 107% 확대된 1864억원으로 집계됐다.
계약유지율이 낮아지는 가운데 ‘불황형 대출’로 불리는 보험계약대출은 증가세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말 기준 보험계약 대출 잔액은 70조1000억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말(71조원)보다 소폭 줄어든 수치지만, 1년 전과 비교하면 1조9000억원 확대됐고 3분기째 역대 최다 수준인 70조원대를 유지했다. 보험사 전체 가계대출 연체율도 0.60%까지 올라 1년 사이에 0.17%포인트 상승하는 등 차주들의 상환 여력도 빠듯해지고 있다.
보험계약대출이 불황형 대출로 꼽히는 이유는 낮은 신용도 등을 이유로 은행권 대출이 어려운 금융소비자가 보험계약을 해지하는 대신 이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은행권 대출보다 금리도 높은 편이다. 더욱이 해지환급금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구조인 만큼 보장이 필요할 때 보험금을 적게 받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고금리 지속에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저축성보험 해지가 늘어나는 등 보험업권도 영향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며 “기업별로 계약유지율 개선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면서도 계약대출 금리를 낮추는 등 상생금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