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초거대AI포럼] 차지호 "AI 통해 변화할 사회 관련 활발한 논의 필요"

2024-06-17 14:31

차지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17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24 제2회 초거대AI(인공지능)포럼'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차지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향후 인공지능(AI)이 국민 실생활을 어떻게 바꿔나갈지가 국내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적 과제 중 하나로 부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차 의원은 17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아주경제신문 '제2회 초거대AI포럼' 축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세계적으로 AI 기술 자체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지만, 그에 비해 AI를 통해 변화할 사회시스템에 대한 예측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봤다. 이런 관점에서 이번 포럼 주제인 '초거대 AI, 생활 속으로 녹아들다'는 현시점에 다루기 매우 적절한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차 의원은 "여기서 다루는 주제들이 결국 대한민국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논의가 될 것"이라며 "AI가 사회 시스템과 연결됐을 때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에 대한 의견 교류가 지금보다 더 활발하게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AI가 사회에 영향을 미칠 단적인 예로 '사회적 은퇴 지연'을 꼽았다. 현재는 나이가 들수록 뇌의 지적 능력은 줄어들고, 이로 인해 일정 나이를 넘어서면 정년퇴직 등의 형태로 은퇴를 강요받게 된다. 차 의원은 "초거대 AI가 인간의 지적 기능과 연결됐을 때 은퇴 나이는 의미가 없어지게 될 것"이라며 "이는 즉 AI가 연령대별로 벌어지는 생산성 격차를 줄여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될 거라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사회적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는 '의대 증원' 역시 AI 대중화란 거대 줄기 속에선 별다른 의미가 없는 논제가 될 것으로 판단했다. 의사 출신인 차 의원은 "(수년 내로) AI가 상용화 의료 시스템에 본격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며 "이러한 단계에 진입하면 의대 정원 문제로 진료를 중단하는 등의 행위 의미는 퇴색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차 의원은 "기후 위기 등의 요인을 고민할 때도 AI를 통해 만드는 미래가 중요하다"며 "이번 포럼이 AI가 우리 사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고민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축사를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