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투트랙' AI 연구 활발… 국내 '온디바이스AI' 강화 나선다

2024-06-17 11:00
서울대와 'AI 공동연구센터' 설립
핵심 기술 확보로 기술 경쟁력 강화
美선 AGI 컴퓨팅랩 신설 등 반도체 중심

삼성전자와 서울대학교는 17일 서울 관악구 소재 서울대 글로벌공학교육센터에서 삼성전자 DX부문 CTO겸 삼성리서치장 전경훈 사장(사진 왼쪽)과 서울대 김영오 공과대학장(사진 오른쪽) 등이 참석한 가운데 'AI 공동연구센터'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으로 재편되는 산업의 주도권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개발(R&D)을 지속한다. 국내에서는 산학과 처음으로 'AI 연구센터'를 설립하는 한편 해외서는 반도체 중심의 AI 연구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는 서울대학교와 17일 서울 관악구 소재 서울대 글로벌공학교육센터에서 'AI 공동연구센터'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전경훈 삼성전자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 사장, 김대현 삼성리서치 글로벌 AI센터장 부사장, 김영오 서울대 공과대학 학장, 강유 서울대 공과대학원 협동과정 인공지능전공 주임교수 등이 참석했다.

삼성전자 DX부문과 서울대 공과대학 대학원 협동과정 인공지능전공은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AI 공동연구센터에서 향후 3년간 AI 최신 기술 분야에 대한 산학협력 연구과제를 수행할 예정이다. 서울대는 2020년 2학기부터 AI 전문 인재 양성을 목표로 공과대학 대학원에 '협동과정 인공지능전공'을 신설해 운영 중이다.

연구 과제는 △온 디바이스 AI △멀티모달(Multi-Modal) AI 등을 위한 세부 기술 확보로 구성된다.

삼성전자는 올해 초 출시된 갤럭시 S24에 △서클 투 서치 △실시간 통역 △포토 어시스트 등 다양한 AI 기술을 탑재했으며 비스포크 AI, AI TV 출시 등 AI 기술이 적용된 제품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삼성전자는 빠르게 변화하는 AI 분야에서 서울대와의 산학협력을 통해 AI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제품 기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과제에 참여하는 석·박사급 연구원을 대상으로 우수 인재 양성 및 확보를 위한 채용 연계 활동도 병행할 계획이다.

전경훈 사장은 "서울대와 삼성전자 간 AI 공동연구센터 설립 협약을 통해 삼성전자가 AI 분야 기술 및 제품 경쟁력을 공고히 하고, AI 미래 연구분야에 우수 인재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영오 학장은 "서울대와 삼성전자가 서로간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협약이 충실히 이행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아갈 것이며, 두 기관이 AI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해 나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북미 지역 중심으로 반도체 관련 AI 연구도 한창이다. 새너제이를 비롯해 오스틴, 산디에고 등에서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산학 협력을 통한 B2C 제품 적용을, 북미에서는 AI 반도체 칩 개발에 전념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특히 미국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삼성리서치아메리카(SRA)'와 'AGI(범용인공지능) 컴퓨팅랩'에서 주도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앞서 경계현 전 삼성전자 DS부문장(현 미래사업기획단장·사장)은 "AGI의 길을 열기 위해 미국과 한국에서 삼성전자 반도체 AGI 컴퓨팅랩을 신설하게 돼 기쁘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