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5' 의대교수들 휴진 동참 확산하나···의·정 회동 본격화

2024-06-11 16:25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전면 휴진을 선언한 서울대 외에도 주요 의대·병원 교수들이 대한의사협회가 주도하는 18일 집단 휴진과 궐기대회에 동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지난달 26일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의료 관계자가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의 강경 대응 방침에도 의료계 집단행동이 확산되고 있다. 서울대병원에 이어 주요 빅5 병원 교수들도 휴진에 대해 논의하면서 이들 사이에서도 집단행동 기류가 뚜렷해지고 있다.

11일 의료계에 따르면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전면 휴진을 선언한 서울대병원 교수들 외에도 주요 의대·병원 교수들이 대한의사협회(의협)의 18일 휴진과 총궐기대회에 동참하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을 각각 산하 병원으로 둔 울산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성균관의대 교수 비대위는 18일 의협 휴진에 동참한다.

이날 오후에는 서울아산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온라인 총회를 열고 휴진 여부를 논의했다. 비대위는 총회에서 휴진 여부가 결정되면 설문조사를 통해 휴진 기간과 시기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가톨릭대 의대와 고려대 의대도 휴진 관련 투표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 교수단체인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와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도 18일 휴진에 동참한다. 전의교협은 12일에는 총회를 열고 전면 휴진 여부도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실제 교수들과 개원의들이 ‘무기한 휴진’을 선택하는 사례는 많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다.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 교수는 “하루는 몰라도 특히 무기한 휴진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면서 “기존 환자는 계속 보면서 신규 환자 진료를 줄이는 방안을 대부분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처럼 의료계 집단투쟁이 거세지는 가운데 정부도 강경 대응책을 내놨다. 의협이 총궐기대회를 열기로 한 18일 진료명령을 내리고 불가피하게 휴진을 할 때는 13일까지 신고하도록 했다. 정부는 18일에 유선 등 방법으로 개원의 근무 여부를 확인하고 업무개시명령을 내릴 예정이다. 이를 위반하면 업무·자격정지, 과태료 등 처분이 내려질 수 있다.

의·정 갈등이 극에 달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와 의협은 비공개 회동을 본격화하고 있다. 다만 의협 측은 여전히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 원점 재검토를 주장하고 있어 의료계 집단 휴진을 불과 일주일 남짓 앞두고 양측 간 갈등의 거리를 좁힐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정부는 필수의료 전공의 복귀율을 최대한 끌어올려야 하는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의료계와 소통하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