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간 303명 영재학교·과학고 떠나…"의대진학 불이익 영향"

2024-06-09 14:39
중도이탈자, 검정고시 등으로 빠져 의대 진학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 앞에 교육 과정과 관련한 광고 문구가 적혀 있다. 2023.10.17 [사진=연합뉴스]

최근 4년간 300명 넘는 학생이 영재학교와 과학고에서 중도 이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대 진학 시 제재가 강화된 여파로 보인다.

9일 학교 알리미 공시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 7개 영재학교(한국과학영재학교 제외)에서 전출하거나 학업을 중단한 학생은 총 60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전국 20개 과학고에서 전출 또는 학업 중단한 학생은 243명이었다. 4년 동안 총 303명이 영재학교와 과학고를 떠난 것이다.

연도별로 보면 영재학교·과학고를 떠난 학생 수는 2020년 79명, 2021년 83명, 2022년 75명, 2023년 66명이었다. 

영재학교·과학고를 떠나는 학생은 과거보다 늘어나는 추세다. 직전 4년인 2016∼2019년 영재학교와 과학고를 떠난 학생은 220명으로 최근 4년 수치보다 37.8% 적었다.

영재학교·과학고를 다니다 그만둔 학생이 늘어난 것은 재학생에게 의대 진학 시 불이익을 강화한 점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영재학교·과학고는 졸업 후 의대 진학 학생에 대해 ‘과학기술 인재 양성’이라는 설립 취지에 맞지 않는다고 보고 점점 불이익을 강화해왔다.

2018년 일부 영재학교는 의대에 진학하는 학생에게서 장학금을 회수하고, 추천서를 작성하지 않는 불이익을 가했다. 

2022학년도에는 이 조치가 더욱 강화돼 전국 영재학교와 과학고 입학생은 의대 진학 제재 방안에 동의한다고 서약해야만 학교에 지원할 수 있게 됐다. 또 의약학 계열 진학을 희망하면 진로·진학 지도도 받을 수 없게 됐다.

의대에 진학하려는 영재학교 학생은 지원받은 교육비와 장학금을 반납해야 하며 일반고 전출을 권고받는다. 학교생활기록부에도 학교 밖 교육·연구 활동을 기재할 수 없도록 했다. 의약학 계열에 진학하려면 영재학교 출신으로서 장점을 모두 포기해야 하는 것이다.

과학고 역시 의대에 진학하면 졸업 때 수상이나 장학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조치를 감수해야 하게 됐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영재학교·과학고 중도 이탈 학생 대부분은 의대 진학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해 지방거점국립대 의대 진학생 중 11명이 검정고시 출신이었는데 이들 중 상당수는 영재학교·과학고에 진학했다가 맞지 않아서 자퇴한 학생들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또 "영재학교·과학고 졸업 후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에 진학한 이후 자퇴하고 의대로 진학하는 학생들도 많은데 이들에겐 불이익이 없다"며 "(영재학교·과학고가 우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선) 정부가 이공계 집중 육성정책, 취업 혜택 등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