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강제노역' 日사도광산, 유네스코 유산 등재 '보류'…7월 재추진

2024-06-07 08:41
유네스코, 日 정부에 추가 정보 요청…강제노역 정보 반영 요구도
일본, 추가 준비 거쳐 7월 등재 재추진 계획

메이지시대 이후 건설된 사도광산 갱도. [사진=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추진해 온 사도광산의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보류됐다. 일본 정부는 추가 준비 작업을 거쳐 내달 다시 등재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6일 NHK 등 일본 매체들이 일본 문화재청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세계문화유산 등재 심사를 맡고 있는 유네스코 자문 기구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는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심사 결과, '보류(Referral)'를 결정했다.

이는 해당 유적지의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심사에 있어 등재 권고(inscription), 보류(referral), 반려(deferral), 등재 불가(Non-inscription) 중 '등재'에 이어 2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따라서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는 여전히 가능성이 남아 있는 셈이다.

이에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에 대한 추가 정보를 준비해 오는 7월 하순 인도 뉴델리에서 열리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재차 등재를 신청한다는 방침이다. 일본 정부는 작년에도 '보류' 판정을 받은 6곳의 유적에 대해 추가 준비 작업을 통해 모두 '등재 권고' 판정을 받은 바 있다.

일본 정부는 니시미카와 금광과 아시카와 쓰루시 금·은 광산 등 2개 부분으로 이루어진 사도광산이 17세기 세계 금 생산량의 10%를 차지하는 최대 금 산지였다는 사실을 근거로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해 왔다.

이에 대해 이코모스는 사도광산이 아시아의 채광 및 제련 기술을 보여주는 전례없는 유적이라는 점에서 세계문화유산 등재 가치가 있다는 것에 동의하면서도 △에도시대(17~19세기) 유적이 많지 않은 일부 지역 제외 △아이카와 쓰루시 금·은 광산 자산 보존을 위한 보호 지역 확대 △상업용 채광 활동 재개 금지 서약 등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또한 사도광산에서 이루어진 강제노역 역사를 반영해 정보를 수정할 것을 주문했다. 이는 한국 측이 주장해 온 사도광산 강제노역에 대한 입장을 반영한 모습이다.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신청 과정에 있어 유산의 대상 기간을 16~19세기 에도 시대로 한정해, 태평양전쟁 당시 한국인의 강제노역 사실을 의도적으로 배제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일본은 앞서 2015년 1940년대 조선인 강제징용 현장인 군함도를 포함한 '메이지시대 산업혁명 유산' 등재를 추진할 당시에도 같은 방법으로 논란을 피해가고자 했다. 유산의 대상 시기를 1850년부터 1910년까지로 한정해 등재에 성공했지만 당시에도 이코모스는 '등재' 의견과 함께 일본 측에 강제동원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알 수 있도록 할 것을 함께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