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본 부동산] 1년 넘게 오르는 아파트 전셋값...비아파트는 역전세 우려 ↑

2024-06-07 07:00
서울 아파트 전셋값, 55주 연속 상승...6억원 거래 비중도 ↑
전세가율 80% 넘는 비아파트 증가...수도권 곳곳서 경고음도 

서울 내 빌라 모습. [사진=연합뉴스]
전세 시장에서 아파트와 비(非)아파트 간 양극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아파트 전셋값은 상승 기조를 이어가고 있지만, 빌라·오피스텔 등 비아파트는 역전세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정부의 전세 안정화 대책도 무기한 연기되면서 비아파트 세입자들의 불안감은 날로 커지고 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 55주째 상승세...국평 51%, 거래액 6억원 넘어섰다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6월 첫째 주(기준)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와 같은 0.10% 오르며 상승 폭을 유지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해 5월 넷째 주 이후 55주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 역시 0.04% 상승하며 전주(0.05%) 대비 다소 오름폭이 축소됐지만 상승세는 유지했다.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 대비 0.11% 올랐다. 지역별로 보면 인천 아파트 전셋값은 0.15% 상승해 가장 오름폭이 컸다. 경기도의 경우엔 0.10% 올라 상승폭이 서울과 같았다. 

올해 들어 서울 전용 84㎡ 아파트 전세 계약 절반 이상은 보증금이 6억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에 따르면 올해 1~4월 기준 서울 전용면적 84㎡ 아파트 전세 계약의 51.1%는 보증금 규모가 6억원을 넘었다.

금액대별로 보면, 전용 84㎡ 아파트에서 전셋값 6억원 이상~9억원 미만 거래량은 5712건으로 전체의 39.4% 비중을 차지했다. 9억원 이상~15억원 미만 거래량은 1520건으로 10.5%, 15억원 이상 거래량도 168건으로 1.2%였다. 

전용 59㎡ 아파트 전셋값도 빠르게 오르는 추세다. 이 기간 서울 전용 59㎡ 아파트 전세 거래에서 6억원 미만 거래량은 76.6%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아파트 전세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면서 "하지만 공급이 받쳐주지 못하면서 아파트 면적 84㎡ 규모의 6억원 미만 거래 비중도 계속해서 줄어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사진=연합뉴스]
전세가율 80% 넘는 비아파트 증가...수도권도 곳곳서 경고음 
최근 들어 연립·다세대, 오피스텔 등 비아파트의 전세 시장은 '역전세'(전세시세가 기존 보증금보다 낮은 상황) 우려도 심화하고 있다. 지방에서는 이미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100%를 넘어서 깡통전세로 전락한 곳도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의 '임대차 시장 사이렌'에 따르면 전남 광양시의 연립·다세대(이하 빌라)의 지난 4월 전세가율은 104.0%를 기록하며 100%를 넘어섰다. 전세가율은 한국부동산원이 최근 3개월간 실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해 월별로 공개한다. 

전세가율이 100%를 넘으면 집값보다 전세 보증금이 더 많아 집을 팔아도 세입자가 보증금을 제대로 돌려받지 못하는 '깡통전세'로 분류한다. 통상 전세가율이 80%를 넘으면 깡통전세 우려가 있다고 본다. 

지난 4월 광양시의 전세보증금 사고 비율은 전체의 30.8%(30건)에 달했다. 이 기간 보증금 사고 금액은 총 28억3225만원으로 집계됐다. 광양을 포함한 전남지역의 평균 전세가율 역시 81.1%로 높게 나타났다. 

강원도 역시 역전세 위험 경고가 커졌다. 강원도 평균 전세가율은 83.8%로 80%를 넘겼다. 강릉시는 전세가율이 90.2%로 가장 높았다. 경북지역도 전체 전세가율은 평균 80.4%로 위험 경고가 커졌다. 대전시 대덕구와 서구가 각각 93.1%, 89.5%로 90%를 넘거나 육박했다. 

이러한 역전세 우려는 수도권으로 확산하고 있다. 경기도가 지난 4월 부동산원의 실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전세가율을 분석해 지난달 27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빌라 전세가율이 90%를 넘는 곳은 안성시(93.9%), 용인시(92.2%)였다. 

1년 전 전세가율이 74.6%에 불과했던 안성시는 지난 4월 93.3%를 기록해 20%포인트(p) 가까이 폭등했다. 

80%를 넘는 곳도 있다. 지난 4월 안양시 만안구의 전세가율은 82.1%(최근 1년 80.6%), 용인시 처인구 80.7%(최근 1년 77.9%)로 집계됐다. 역전세 우려가 커지자 경기도는 '깡통전세' 우려가 있다며 임차인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인천시도 비슷한 상황이다. 인천 강화군의 전세가율은 90.4%에 달하며 역전세 우려가 커졌다. 미추홀구는 81.3%로 뒤를 이었고, 부평·서구가 각각 79.6%, 79.3%를 기록하며 80%에 근접했다.

서울도 '역전세 안전지대'는 아니다. 빌라 비중이 높은 강서구가 80.2%로 80%를 넘어섰으며 구로구도 79%로 뒤따랐다. 

전세가율이 높아질수록 임차인의 부담이 커지고 깡통전세의 위험도 증가하는 만큼 현재 전세 계약 만기를 앞둔 세입자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하순쯤 비아파트 기피 현상 완화에 초점을 맞춘 '전세 안정화 및 주택공급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려 했으나 관련 부처와의 협의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무기한 연기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전세 사기 여파로 세입자들의 기피 대상이 된 비아파트의 규제 완화 등 출구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김효선 NH은행 부동산 수석위원은 "전세사기 프레임이 씌워진 빌라의 기피 문제 해소가 가장 시급하다. 보증보험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보험 가입 기준인 공시지가를 감정가 등으로 변경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만하다"면서 "또 돈이 없어 보증금을 못 돌려주는 빌라 집주인들을 위해서는 주택연금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도 대안"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