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9월 첫 금리 인하 전망…'올해 총 2차례 인하'
2024-06-06 17:17
로이터 설문 조사, 응답자 3분의 2가 첫 금리 인하 시기로 9월 지목
11월 추가 금리 인하 예상
CPI, PCE 등 주요 인플레이션 지표는 2026년까지 2% 달성 어려워
11월 추가 금리 인하 예상
CPI, PCE 등 주요 인플레이션 지표는 2026년까지 2% 달성 어려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9월부터 금리 인하를 개시할 것이라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11월에 추가적으로 금리를 인하해 올해 총 2차례의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내다봤다.
5일(이하 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지난 달 31일부터 이달 5일까지 116명의 이코노미스트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 응답자 중 약 3분의 2에 해당하는 74명은 연준의 첫 금리 인하가 올해 9월에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응답자 중 60%가량인 68명은 연준이 올해 11월에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 달 설문 조사와 비슷한 결과로, 금융시장에서는 지난 주까지만 해도 올해 1차례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었던 것에 반해 전문가들은 꾸준히 올해 2차례 금리 인하를 전망하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앞서 지난 달 발표된 미국 4월 CPI(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4% 상승했고, 연준 선호 물가 지표인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8% 상승했다. 이에 두가지 주요 인플레이션 지표 모두 연준 목표치인 2%와는 여전히 거리가 있다. 설문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CPI와 근원 CPI 및 PCE, 근원 PCE 등 주요 물가 지표들이 최소한 2026년까지는 2%까지 내려오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고금리가 장기화되면서 미국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작년 4분기 3.4%에서 올해 1분기에는 1.3%(수정치 기준)로 급락하는 등 경기 둔화 조짐이 나타나는 가운데 금리 인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 연준의 금리 인하도 한층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캐나다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한 5일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장중 4.28%까지 떨어지며 2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호주뉴질랜드은행(ANZ)의 국제 경제 책임자 브라이언 마틴은 "캐나다중앙은행의 결정은 놀랄만한 일은 아니었지만, 연준의 금리 인하 분위기를 띄웠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