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5년까지 우주항공 5대 강국 도약"…우주청 중심으로 대대적 육성

2024-05-30 17:21
정부, 30일 첫 국가우주위원회 개최
'톱5' 청사진…우주청 정책 방향 발표
우주수송·인공위성 등 성장 로드맵 공개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 임시청사 [사진=우주항공청]
정부가 2045년까지 우주항공 분야에서 5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지난 27일 개청한 우주항공청을 중심으로 정책·사업 방향성을 종합 제시하고, 핵심 임무를 추진해 우주항공경제의 빠른 성장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다.

정부는 30일 경남 사천 우주청 임시청사에서 올해 첫 국가우주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윤영빈 초대 우주청장은 2045년 우주항공 5대 강국 입국을 위한 '우주항공청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정책 방향을 보면 정부는 4대 우주항공 기술 분야로 △우주수송 △인공위성 △우주탐사 △미래항공을 선정하고, 해당 분야에 대한 대대적인 지원에 나선다. 정부는 그간 독자적인 발사체와 위성·항공기 개발 역량 등을 확보함에 따라 우주 분야에서 한국이 세계 7대 강국으로 도약했다고 자평했다. 다만 우주탐사·항공엔진부품 등 미래 핵심 기술 분야는 선도국과 기술 격차가 10년 이상 벌어졌다고 보고 이를 육성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했다.

우주수송 부문에서는 뉴스페이스 발사 서비스 시장 진출을 강조했다. 우주수송 기술, 발사장, 제조 역량을 확보해 글로벌 발사 서비스 시장에 진출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차세대 발사체를 개발하고, 재사용 발사체 기술 조기 확보를 통한 누리호 반복 발사와 성능 개량에 들어간다.

인공위성 부문에서는 위성 개발·활용 생태계를 조성한다. 과학 임무부터 사회문제 해결, 공공 서비스 개선까지 다양한 목적의 위성을 개발하고 민간 주도의 위성정보 활용 생태계를 조성한다. 이를 위해 우주광통신·우주인터넷 등 미래 위성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기반을 구축해 위성정보 활용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신산업·신서비스 창출 등을 추진한다.

정부는 달·화성을 비롯한 우주 전반으로 탐사도 확대한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우주탐사 로드맵을 수립하고, 달 착륙선 개발과 달 기지 확보 등으로 달 관측·탐사에 나선다. 나아가 화성과 소행성을 탐사하기 위한 추진 전략을 마련하고 관련 임무를 발굴한다. 

미래항공 부문에서는 항공 분야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첨단 제조를 혁신해 산업 생태계를 고도화함으로써 미래 항공산업 전반에 대한 주도권 확보한다. 하이브리드 미래항공 모빌리티(AAM)와 첨단항공엔진 등을 개발하고,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핵심 기술과 글로벌 환경 규제 대응 기술 확보로 세계 생산 기지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3대 우주항공 기반도 함께 발표했다. △우주항공경제 본격 창출 △국가 우주항공 정책 컨트롤타워 기능 강화 △우주항공 주권 확보와 영향력 확대를 제시했다.

정부는 앞으로 민간과 정부가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글로벌 수준의 민간 주도 우주항공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우주항공산업을 국가 주력 산업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우주항공 기업 육성을 위한 사업·펀드에 투자하고, 경남과 전남·대전으로 이어지는 우주산업 삼각 클러스터 조성에 나선다. 민간 대상 우주항공 분야 조달 등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절차·제도 장비를 추진한다.

국가우주위원회를 정례화하고, 우주항공 분야 법·제도 정비와 정부 투자 확대에도 박차를 가한다. 국제협력 측면에서는 우주청 주관 산학연 협력체제의 주요국·신흥국 양자협력과 국제기구 교류를 확대하고, 대형 국제협력 우주탐사 참여에도 적극적으로 나선다. 

정부는 우주청을 중심으로 정책을 실행한다. 우주청은 현재 연구개발(R&D) 전담 조직인 우주항공임무본부 산하 부문장 등에 대한 채용·인사검증 과정을 진행 중이며 채용이 마무리되면 본격적인 정책 추진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노경원 우주청 차장은 전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임무지원단 산하 4개 부문장 후보들을 선정해 인사 검증 과정을 진행 중"이라며 "인사 후 현재 인력들과 함께 정책 방향을 더욱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27일 개청한 우주청에는 현재 110명이 근무 중이다. 올 상반기 경력경쟁채용에서 31개 직위에 50명을 추가로 선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