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K 국제컨퍼런스] 이창용 "중립금리, 물가·금융안정 함께 고려해 채택"

2024-05-30 15:18
한은 총재, 토마스 요르단 스위스 중앙은행 총재와 대담
"중립금리, 금융안정 고려하면 물가만 고려한 것보다 높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와 토마스 요르단 스위스 중앙은행 총재가 30일 'BOK 국제컨퍼런스'에 참석해 정책 대담을 나누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물가안정과 금융안정을 함께 고려해 중립금리를 추정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신축별관에서 열린 '2024년 BOK 국제컨퍼런스'에서 토마스 요르단 스위스 중앙은행(SNB) 총재와 정책 대담을 하며 이같이 말했다.

중립금리란 각국의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참고하는 준거 금리로,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고 잠재성장률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이론적 금리 수준을 말한다.

지금까지 한은은 중립금리를 2~3%로 추정해 왔다. 이는 물가안정만 고려한 중립금리다.

이 총재는 "한은의 정책 목표는 물가안정과 금융안정"이라며 "금융안정까지 고려한 중립금리를 채택하려고 시도하고 있으며 이는 물가안정만을 고려한 중립금리보다 더 높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담에서는 통화정책 기조 판단을 위한 중립금리 활용법에 대해서도 대화가 오갔다. 이 총재는 한은의 중립금리 추정과 관련해 "기본적으로 4~5개 모델을 갖고 있다"며 "현재 금리는 중립금리보다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실질금리가 중립금리 범위를 웃돌면 긴축적, 하회하면 완화적이라고 판단한다는 게 이 총재의 설명이다. 이는 최근 한은의 통화정책 기조가 긴축적이라는 점을 염두에 둔 언급이다.

앞서 요르단 총재는 기조연설에서 "중립금리가 재상승하고 있는지 판단하기에는 이른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 이유로 낮은 잠재성장률, 기대수명 증가 등 실질금리를 낮추는 요인과 비경제활동인구 증가로 인한 저축률 하락, 대규모 재정적자, 신기술에 따른 생산성 향상, 녹색 전환에 따른 대규모 투자 등 실질금리를 높이는 요인이 혼재돼 있다는 점을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