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첫 '파업' 돌입한 삼성전자… 내달 7일 직원 22% '단체 연차' 예고

2024-05-29 12:59
이재용 '무노조 경영 폐지' 선언 4년만
버스 숙박 농성…"추가 파업지침도 계획"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 29일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업을 선언했다. [사진=이성진 기자]
삼성전자 노동조합이 창사 이래 처음으로 파업을 선언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무노조 경영 폐지'를 선언한 지 4년 만이다. 노조는 오는 6월 7일 조합원 단체 연차 사용을 시작으로 파업을 본격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은 29일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업을 선언했다.

전삼노는 "우리 노동조합은 사측에서 2023~2024년 임금교섭 병행조건으로 직원 휴가제도 개선에 대한 약속을 믿고 교섭을 타결하기 위해 많은 것들을 양보했다"며 "하지만 사측은 이를 비웃고, 일방적으로 '서초에서 반려했다'는 말로 교섭을 결렬시켰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는 대화로 해결하고자 세 차례나 문화행사를 진행했음에도 사측은 전날 아무런 안건도 없이 교섭에 나왔다"며 "아무런 준비도 하지 않은 채 노조를 무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사측과 전삼노는 지난 1월부터 교섭을 이어갔지만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전날 기흥 사업장에서 진행한 8차 본교섭도 임금협상 안건이 다뤄지지 않았고 추후 교섭 일정도 정하지 못했다.

전삼노는 '최근 회사 위기론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파업 선언은 비판 목소리가 있을 것 같다'는 취재진의 우려에 "경영상 위기 요인으로 노조 리스크가 나오고 있지만 우리가 봤을 땐 '경영리스크'"라며 "삼성전자 직원은 정당한 보상을 못 받고 있다고 생각하며, 이 때문에 사기가 떨어져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최근 미국 상무부 장관은 527억 달러의 보조급 지급계획을 발표하면서 노조 설립을 돕는 업체를 선호한다고 언급했고, 백악관 대변인도 노조 간 파트너십을 환영한다고 말하는 등 노조를 인정하고 있다"면서 "반면 그룹 오너인 이재용 회장의 무노조 경영 철폐 선언에도 사측 태도에 변화가 없다"고 호소했다.

전삼노는 1호 파업 지침으로 조합원들에게 오는 6월 7일 단체 연차 사용을 요청했다. 전삼노 조합원은 2만8400여 명이다. 이는 삼성전자 전체 직원(12만5000여 명) 중 약 22%에 해당하는 규모다.

손우목 전삼노 위원장은 "1호 지침 이후 2·3·4호 등 파업 지침 계획도 있다"며 "추후 말씀 드릴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삼노는 또 이날부터 서초사옥 앞에서 버스 숙박 농성을 진행한다. 전삼노 측은 "아직은 소극적인 파업으로 볼 수 있지만 단계를 밟아 나가겠다"면서 "총파업까지 갈 수 있고, 파업이 실패할 수도 있지만 1호 파업 행동 자체가 의미 있다"고 말했다.

전삼노는 "우리가 원하는 것은 임금 1~2% 인상이 아니라,제도 개선을 통해 투명하게 지급해 달라는 것"이라며 "경쟁사인 LG와 SK하이닉스도 영업이익 기준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왜 삼성전자는 EVA(경제적 부가가치)로 하는 것인가"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 노조가 파업을 선언한 것은 1969년 회사 창립 이래 처음이다. 2020년 5월 이재용 회장이 '무노조 경영 폐지'를 선언한 이후 삼성 내에서 노조 활동이 늘고 규모도 빠르게 확대되는 추세다. 2022~2023년에도 임금교섭이 결렬되면서 노조가 조정신청을 거쳐 쟁의권을 확보한 바 있다. 다만 당시에는 실제 파업으로 이어지진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