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플러스] 수도권 생산인구 30% 급감, 부양比 130% 폭증...'저출산 악몽' 본격화  

2024-05-28 15:22
30년 후 생산인구비중 51%로 줄어…10개 시도는 총부양비 100명 돌파

2022년 대비 2025년 시도별 총부양비 추이[자료=통계청]
우리나라 '성장 엔진'인 수도권의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30년 후에는 30% 가까이 줄어든다. 저출산·고령화 심화로 생산연령인구가 유소년(15세 미만)과 노년(65세 이상) 인구를 부양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은 2배 넘게 급증할 전망이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2∼2052년 장래인구추계 시도편'에 따르면 우리나라 생산연령인구는 2022년 3674만명에서 2052년 2380만명으로 35.2% 감소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같은 기간 총인구 대비 생산연령비중도 71.1%에서 51.%로 쪼그라든다.

해당 추계는 2022년 인구총조사를 기초로 시도별 출생·사망·인구이동 추이를 반영해 2052년까지의 인구 변동을 예측한 것으로, 인구 변동 요인을 중간 수준으로 가정한 중위 시나리오다. 

지역별 생산연령인구는 2052년 세종을 제외한 전국 15개 시도에서 일제히 감소할 전망이다. 특히 울산은 2022년 81만명에서 2052년 41만명으로 반토막(49.9%) 난다. 전국에서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온누리 통계청 인구추계팀장은 "울산의 경우 2015년부터 조선업 침체 등의 영향으로 젊은층 인구가 많이 유출되고 있는 지역"이라며 "(다른 지역보다) 30대에서 60대까지의 인구 유출이 더 늘면서 생산인구가 줄어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 경남(-47.8%), 부산(-47.1%), 대구(-46.9%), 경북(-45.0%), 전남(-42.5%), 전북(-43.4%), 광주(-41.7%) 등도 2052년까지 40%가 넘는 생산인구 감소를 겪을 전망이다. 서울은 2022년 기준 생산인구 비중이 73.3%로 가장 높았지만 2052년에는 55.3%로 하락한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569만명(-29.8%), 영남권 414만명(-47.1%), 호남권 159만명(-41.1%), 중부권 153만명(-30.6%)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저출산 여파로 유소년·학령 인구가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계속 늘면서 생산인구가 감당해야 할 경제적 부담은 기하급수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전국 고령 인구는 2022년 898만명에서 2025년 1000만명을 넘어서고 2050년에는 1891만명으로 정점을 찍는다. 2052년 기준 고령 인구는 1886만명으로 예상된다. 향후 30년 동안 고령 인구가 2배 이상 증가하는 셈이다. 

반면 0세에서 14세에 해당하는 유소년 인구는 2022년 595만명에서 2052년 361만명까지 줄어든다. 6세에서 21세에 해당하는 학령 인구 역시 같은 기간 750만명에서 424만명으로 감소한다.

그 결과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하는 유소년·고령 인구 비율을 의미하는 총부양비는 2022년 전국 평균 40.6명(유소년 16.2명, 고령자 24.4명)에서, 2052년 94.4명(유소년 15.2명, 고령자 79.3명)으로 132.4% 늘어난다. 

특히 전남(127.0명), 경북(125.4명), 경남(118.9명) 등 10개 시도는 총부양비가 100명을 넘어 부양자보다 피부양자가 더 많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향후 30년간 총부양비가 가장 크게 증가하는 시도는 울산으로 2022년 대비 약 178% 증가하고 가장 낮은 세종도 72% 확대된다. 생산인구가 밀집한 수도권의 경우 2022년 36.7명에서 2052년 84.4명으로 130.3% 폭증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림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생산인구 감소는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넘어 빈부 격차를 더 벌리는 방식으로 작동할 가능성이 높다"며 "기술 혁신과 여성, 노인 인력 활용을 높이면서 산업의 발전 방향을 고려한 외국 인력 도입 확대도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